본문 바로가기

글/사진/음악/유머

소방울 '워낭 소리’ 끊긴 곳에서 우리는 ...


 

 

경북 봉화 하눌마을에는 평생 땅 속에 힘을 풀었던 농부가 살고 있다.
그리고 농부가 30년 동안을 부려온 소가 있었다.
농부 나이 여든, 소는 마흔이었다.
소 또한 평생 논밭을 갈고 달구지를 끌었다.
늙은 농부 귓가에는 언제나 워낭(소의 턱 밑에 달린 작은 종)소리가 맴돌았다.
가는 귀를 먹었지만 워낭 소리만은 크게 들렸다.
워낭소리가 요란하면 소에게 무슨 일이 있음이니 이는 소통의 도구였다.
노인과 소는 힘을 합쳐 농사를 짓고 9남매를 키웠다.
장성한 자식들은 도시로 나갔고 소만이 노부부 곁에 남았다.
노인은 소 먹일 꼴이 오염될까봐 논밭에 농약도 치지 않았다.
새참을 먹을 때는 막걸리도 나눠 마셨다.


어느 날 소가 쓰러졌다. 평균 수명이 15년인데 40년을 살았으니 죽음이 다가오고 있었다.
수의사도 자연수명이 다 됐다고 했다.
그러나 노인은 믿지 않았다.
다시 일어난 소는 노인을 태우고 집과 논밭을 오갔다.
한쪽 다리가 불편한 노인과 다리에 힘이 빠진 소, 둘은 절뚝거리며 느릿느릿 오고 갔다.
시간도 함께 풀어졌는지 죽음도 느릿느릿 다가왔다.
하지만 세월은 저 홀로 흐르지 않고 외딴 산골에도 스며들어 시나브로 기운을 뺏어갔다.
소는 간신히 달구지를 끌었고, 그 위의 노인은 꾸벅꾸벅 졸았다.
어느덧 모습도 표정도 노인과 소는 닮아 있었다.
쇠잔하여 앙상했다.
노인과 소는 특히 눈이 무척 닮았다.
속기가 빠져나간 무욕의 눈에서는 신성(神性)이 어른거렸다.

 



자식이 코뚜레였던 아버지들

다시 소가 쓰러졌다.
수의사는 노인에게 마음의 준비를 하라고 일렀다.
노인은 소에게서 코뚜레를 풀고 워낭을 떼어냈다.
그 손길이 성자와 같았다.
사실 코뚜레와 워낭은 평생 노인도 지니고 있었다.
노인의 코뚜레는 자식이었고 워낭은 위태로운 하루하루였으니 삶 자체였다.
죽음 앞에 노인은 덤덤했고 소 또한 그랬다.
소가 그 큰 눈을 감자 노인이 말했다.
“좋은 데 가거래이.”
모든 것을 쏟아낸 소는 가벼웠다.
포클레인에 매달린 주검이 겨우 송아지만했다.
노인도 결국 그렇게 떠날 것이다.
소는 제 힘을 모두 풀었던 땅 속에 묻혔다.
절대 평화였다.
‘차가 오면 미리 알고 피했던, 장에 갔다 달구지 위에서 잠이 들었는데 저 혼자 집을 찾아왔던’ 소에 대한 자랑도 함께 묻혔다.
우람했던 지난 날은 간 곳이 없고, 처마에 매달아 둔 워낭소리가 처연했다.



다큐멘터리 <워낭소리>(감독 이충렬)는 이렇게 끝이 난다.
영화가 끝났지만 관객들은 늙은 소처럼 일어서지 못했다.
영화 속 농부는 울지 않았지만(울음을 담지 않았는지 모르지만) 관객은 울어야 했다.
엔딩 크레디트가 다 올라갔지만 영화관 측은 한참 동안 불을 켜지 않았다.
관객이 눈물을 닦을 때까지. 어둠 속에서 워낭소리는 계속 들려왔다.
자식 걱정이 코뚜레가 되어 논밭에 묶여있던 우리 시대 아버지들, 그들은 그렇게 홀연 떠나갔다.



사람과 소의 교감과 동행은 흔했다.
농사를 지으려면 당연했다.
하지만 이제 지상에서 아주 특별한 일로 남아있다.
소들은 워낭 대신 일제히 번호표를 달았다.
사람의 친구가 아닌, 들녘의 일꾼이 아닌 그저 인간의 먹이로 사육되고 있다.
이름을 부르며 키웠던 가축들도 오간 데 없다.
워낭 소리가 사라진 들녘은 기계소리로 뒤덮였다.
땅은 스스로는 농작물을 키워낼 힘이 없다.
농약과 비료에 의존하여 농작물을 생산해낼 뿐이다.
이로써 몇 천년을 이어온 우경(牛耕)의 시대는 끝이 났다.
저 노인은 마지막 남은 우리 시대의 아버지이다.


힘을 땅에 풀었던 위대한 시간

워낭소리가 낭랑했던 시대와 기계음이 낭자한 시대에는 서로 다른 인류가 살고 있는지 모른다.
부리는 소와 먹는 소 사이에 우리가 있다.
마른 일소와 살찐 육우 사이에 우리가 있다.
배가 움푹 패었던 아버지와 뱃살이 오른 젊은이들 사이에 우리가 있다.
만져보면 우리도 배가 나왔다.


몇 천년을 이어온 것들이 우리 시대에 사라지는데 우리는 과연 누구인가.
사람과 소가 함께 그 힘을 땅에 풀어 생명을 피워올리던 그 위대한 시간들에, 그 싱싱한 육체노동에 삼가 노래를 바친다.

그것이 비록 만가(挽歌)일지라도.

 

 

<김택근 |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