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월~ 7월의 산/들꽃

7월 야생화 꽃 짚신나물 낭아초 선학초 용아초 산짚신나물 들꽃 약용식물 약초 항암제 짚신나물 선학초라고도 불리며 우리 나라의 들이나 길옆에 흔히 자라는 식물이다. 짚신나물은 야산이나 길가. 들판 등에 흔히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선학초(仙鶴草), 용아초(龍牙草), 황화초(黃花草), 탈력초(脫力草) 등의 여러 이름이 있다. 이 가운데서 용아초라는 이름은 이른 봄철에 돋아나는 새싹이 마치 용의 이빨을 닮았다고 해서 생긴 것이다. 키는 15∼60센티미터쯤 자라고 전체에 흰털이 있으며 버들 잎 모양 또는 긴 타원 꼴의 쪽잎이 어긋나게 붙는다. 6∼7월에 생기 꽃대 위에 노란 색의 작은 꽃이 모여서 핀다. 다른이름으로는 선학초(仙鶴草: 위약조변), 용아초(龍牙草, 시주용아초:施州龍牙草: 본초도경), 과향초(瓜香草: 용아초:龍牙草: 구황본초), 황용미(黃龍尾: 전남본초), 철호봉(鐵胡蜂, 금정.. 더보기
5월 야생화 좀가지풀 좀까치풀 소가 구충제 약용식물 약초 풀섶 한 곳에서 좀가지풀을 만났다. 이름 그대로 키가 작고 옆으로 자라는 식물이라 만나기도 어렵지만 너무 작아 사진으로 담기는 더욱 어렵다. 아직 채 삭지않은 낙엽사이로 고개를 내민 좀가지풀은 작은 바람에도 흔들려 여러번 담은 것 중에 겨우 몇컷만 살았다. 좀가지풀 Lysimachia japonica (앵초과 Primulaceae) 분류 : 쌍떡잎식물 앵초목 앵초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이명 : [Lysimachia japonica] 좀까치풀, 소가 학명해설 : Lysimachia(Macedonia의 왕 Lysimachion에서 유래. Lysimachius 왕이 성난 황소의 공격을 받았을 때 이풀을 흔들었더니 소가 진정했다는 전설이 있고, 또 lysis(풀다)와 mache(투쟁, 싸움)의 합성어라고도 한.. 더보기
5월 야생화 작약 함박꽃 약초 약용식물 장리 모란 목단 붉은 작약!!!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약용식물 작약이다. 작약의 작은 꽃이 선명하고 아릅답다는 뜻으로 이름에 걸맞게 꽃이 매우 아름답지만 중국에서는 꽃을 사랑하는 사람에게 보내면 장차 이별할 것을 뜻한다고 하여 일명 장리라고 부르기도 한다. 작약 속은 유럽과 아시아 등지에 약 30종 정도 분포하고 있다. 대부분은 초본성(풀)을 작약이라 하며, 몇 종이 목본성(나무)으로 모란 혹은 목단이라 한다. 작약과 모란은 닮은 점이 많은데, 모란은 나무이고 작약은 풀이라는 점이 다르다. 즉, 모란은 다른 나무와 마찬가지로 줄기가 땅 위에서 자라서 겨울에도 죽지 않고 남아 있지만, 작약은 겨울이 되면 땅 위의 줄기는 말라죽고 뿌리만 살아 이듬해 봄 뿌리에서 새싹이 다시 돋아 나온다. 뿌리는 약용으로 쓰고 있다.. 더보기
7월 석류 석류나무 아스트로겐 구충제 약용식물 유실수 석류나무 [石榴─, pomegranate] 쌍떡잎식물 도금양목 석류나무과의 낙엽소교목. 학명 Punica granatum 분류 석류나무과 원산지 이란·아프가니스탄·히말라야 크기 높이 5∼7m 효용 관상용, 약용 이란·아프가니스탄·히말라야가 원산지이다. 관상용 또는 약용으로 인가 부근에 심는다. 높이는 5∼7m이고, 작은 가지는 횡단면이 사각형이고 털이 없으며 짧은 가지 끝이 가시로 변한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2∼8cm의 긴 타원 모양 또는 긴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털이 없고 잎자루가 짧다. 꽃은 양성화이고 5∼6월에 붉은 색으로 피며 가지 끝에 1∼5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통 모양이고 6개로 갈라진다. 꽃잎은 6개이고 기왓장처럼 포개진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1개.. 더보기
6월 타래난초 타래난 흰타래난초 들꽃 야생화 타래난초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Spiranthes sinensis 분류 난초과 분포지역 한국·일본·중국·타이완·사할린섬·시베리아 등지 자생지 잔디밭·논둑 크기 높이 10∼40cm 잔디밭이나 논둑에서 자란다. 높이 10∼40cm이다. 뿌리는 짧고 약간 굵으며 줄기는 곧게 선다. 뿌리에 달린 잎은 길이 5∼20cm, 나비 3∼10mm이고 주맥이 들어가며 밑부분이 짧은 잎집으로 된다. 줄기에 달린 잎은 바소꼴로서 끝이 뾰족하다. 꽃대는 줄기 하나가 곧게 서며 길이 5∼15cm이다. 꽃은 5∼8월에 연한 붉은색 또는 흰색으로 피고 나선 모양으로 꼬인 수상꽃차례에 한쪽 옆으로 달린다. 포는 달걀 모양 바소꼴로서 길이 4∼8mm이고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조각은 바소꼴이고 길이 4∼6mm로서.. 더보기
7월 메꽃 분꽃 자미리 초미리 자화분 들꽃 약용식물 약초 아직도 피고지는 메꽃과 이제 피기시작하는 분꽃[분화(粉花)·자미리·초미리·자화분(紫花粉)이라고도 하며 뿌리를 자말리근(紫茉莉根)이라고 하며, 이뇨·해열·활혈(活血)에 쓴다.] 그렇게 자연속에서봄은 여름에 물려 있고,가을은 여름속에 숨어 있다. 자연속에서는 단절이란 없다.끊어진 듯 이어져있는 인연속에하나 둘 태어나고 스러지는 것이다. 연속성을 유지하고~~~ [2008년 7월 26일 계룡산 갑사입구 농바위옆 죽림방에서 계룡도령 춘월] 더보기
7월 더덕 사삼 백삼 약초 약용식물 더덕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 학명 Codonopis lanceolata 분류 초롱꽃과 분포지역 한국 ·일본 ·중국 서식장소 숲속 크기 잎 길이 3∼10cm, 나비 1.5∼4cm, 꽃받침 길이 2∼2.5cm, 나비 6∼10mm, 화관 길이 2.7∼3.5cm 사삼, 백삼이라고도 부른다. 더덕은 숲속에서 자란다. 뿌리는 도라지처럼 굵고 식물체를 자르면 흰색의 즙액(汁液)이 나온다. 잎은 어긋나고 짧은 가지 끝에서는 4개의 잎이 서로 접근하여 마주나므로 모여 달린 것 같으며 길이 3∼10cm, 나비 1.5∼4cm로 바소꼴 또는 긴 타원형이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앞면은 녹색, 뒷면은 흰색이다. 8∼9월에 종 모양의 자주색 꽃이 짧은 가지 끝에서 밑을 향해 달린다. 꽃받침은 끝이 .. 더보기
7월 강아지풀 개꼬리풀 구미초 들꽃 꽃 잡초 약용식물 구황식물 강아지풀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 학명 Setaria viridis 분류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 분포지역 전국 서식장소 길가, 들 개꼬리풀이라고도 하며, 한자로는 구미초(狗尾草)라고 한다. 길가나 들에서 자란다. 줄기는 20∼70cm로 뭉쳐나고 가지를 치며 털이 없고 마디가 다소 길다. 잎의 길이는 5∼20cm, 너비 5∼20mm로 밑부분은 잎집이 되며, 가장자리에 잎혀와 줄로 돋은 털이 있다. 꽃은 한여름에 피고 원주형의 꽃이삭은 길이 2∼5cm로서 연한 녹색 또는 자주색이다. 작은가지는 길이 6∼8mm로 퍼지고 가시 같다. 종자는 구황식물로 이용되었으며, 민간에서는 9월에 뿌리를 캐어 촌충구제용으로 쓰인다. 한방에서는 여름에 전초를 채취하여 말린 것을 약용으로 사용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한.. 더보기
7월 배롱나무 꽃 간지럼나무 백일홍나무 약초 약용식물 배롱나무 [crape myrtle] 쌍떡잎식물 도금양목 부처꽃과의 낙엽 소교목. 학명 Lagerstroemia indica 분류 부처꽃과 원산지 중국 크기 높이 약 5m 꽃이 오랫동안 피어 있어서 백일홍나무라고 하며, 나무껍질을 손으로 긁으면 잎이 움직인다고 하여 간즈름나무 또는 간지럼나무라고도 한다. 높이 약 5m이다. 나무껍질은 연한 붉은 갈색이며 얇은 조각으로 떨어지면서 흰 무늬가 생긴다. 작은가지는 네모지고 털이 없다. 새가지는 4개의 능선이 있고 잎이 마주난다. 잎은 타원형이거나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며 길이 2.5∼7cm, 나비 2∼3cm이다. 겉면에 윤이 나고 뒷면에는 잎맥에 털이 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양성화로서 7∼9월에 붉은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꽃.. 더보기
7월 나무 회화나무 꽃 부적 괴황지 만사형통 초배지 약용식물 약초 회화나무 [槐花─, Japanese pagoda tree]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낙엽교목. 학명 Sophora japonica 분류 콩과 분포지역 한국·일본·중국 크기 높이 25m 영문명으로 Chinese scholar tree라고도 한다. 높이 25m에 달한다. 가지가 퍼지고 작은가지는 녹색이며 자르면 냄새가 난다. 잎은 어긋나고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7∼17개씩이고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며, 뒷면에는 작은잎자루와 더불어 누운털이 있다. 꽃은 8월에 연한 황색으로 피고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꼬투리는 길이 5∼8cm이고 종자가 들어 있는 사이가 잘록하게 들어가며 밑으로 처진다. 꽃봉오리를 괴화(槐花) 또는 괴미(槐米)라고 하며 열매를 괴실(槐實)이라 하는데, 모두 약용으로 한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