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월~ 7월의 산/들꽃

6월 어성초 약모밀 약초 꽃 저자 즙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약모밀 [藥─] 어성초[魚腥草]


쌍떡잎식물 후추목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Houttuynia cordata
분류  삼백초과
분포지역  한국(울릉도·안면도·거제도)·일본·중국·히말라야·자바 서식장소 : 응달진 숲 속
크기  높이 20∼50cm
 

멸·어성초이라고도 한다.
응달진 숲 속에서 자란다.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벋고 가늘며 흰색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20∼50cm이며 몇 개의 세로줄이 있고 털이 없으며 냄새가 난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 모양의 심장형이며 길이가 3∼8cm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턱잎이 잎자루 밑 부분에 붙어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줄기 끝에서 나온 짧은 꽃줄기 끝에 수상꽃차례를 이루며 많은 수가 달린다.
총포는 4개로 갈라지고 꽃차례 밑에 십자 모양으로 달려 꽃잎처럼 보이며, 갈라진 조각은 길이 1.5∼2cm의 타원 모양 또는 긴 타원 모양이며 흰색이다.
꽃차례의 길이는 1∼3cm이고, 꽃은 꽃잎과 꽃받침이 없고 3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암술대는 3개이고, 씨방은 상위(上位)이고 3실이다. 


열매는 삭과이고, 종자는 연한 갈색이다.
꽃이 피기 전의 식물체를 이뇨제와 구충제로 사용하고, 잎을 짓찧어 종기와 독충에 물렸을 때 바른다.
민간에서는 부스럼·화농·치질에 사용하고, 한방에서는 식물체를 임질·장염·요로감염증·폐렴·기관지염에 사용한다.


잎이 메밀의 잎과 비슷하고 약용식물이므로 약모밀이라고 부른다.
한국(울릉도·안면도·거제도)·일본·중국·히말라야·자바에 분포한다.


어성초[魚腥草]는 우리나라에서 삼백초과의 약모밀(Houttuynia cordata Thunberg)의 개화기의 지상부를 말한다.
일본에서는 같은 식물을 쓰며 십약(十藥)이라 부른다.
중국에서는 같은 식물을 사용하지만 전초 또는 지상부라고 규정하고 있다. 
 

어성초란 잎에서 고기 비린내가 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옛 중국의 진(秦)나라에서는 저자(菹子), 즉 젓갈과 같은 냄새가 나는 식물이라고 불렀는데 저(菹)는 즙(蕺)과 음이 비슷하여 즙채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 약은 잎을 비벼서 부수면 생선비린내가 나며 맛은 맵고 성질은 약간 차다.[辛微寒]


어성초는 해열, 배농작용이 뛰어나 폐농양으로 인한 기침, 피고름을 토할 때, 폐렴, 급만성기관지염, 장염, 요로감염증, 종기에 쓰며, 열이 많고 소변을 못 볼 때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항균작용, 면역증강작용, 항염증작용, 이뇨작용, 진해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줄기에 세로주름이 있고 마디가 분명하다.
밑의 마디에는 가는 뿌리가 남아 있고 질은 무르며 꺾어지기 쉽다.
잎은 말리거나 쭈그러져 있으나 펴면 심장형으로 되어 있다.
잎은 끝이 뾰족하고 윗면은 어두운 황록색이나 황갈색이고 아랫면은 회녹색이나 회갈색이다.- ⓒ 두산백과사전
 

 

 

어성초/약모밀은 약효도 약효지만

번식력도 강하여 마당 한켠에 두어포기만 심어 두면

몇년내 마당이 가득 차 버린다.

 

바람이라도 불라치면  자극적인 비릿한 내음이 또한 마당을 가득채워버려

집안에 키우기는 장려하고싶지 않다.

 

 

[2008년 6월 7일 계룡산 갑사입구 농바위옆 죽림방에서  계룡도령 춘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