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의 레임덕이 시작되었다?
MB의 영원한 우군일 듯 행동하던 조선일보가 정면으로 MB를 바로 겨냥하고 쓴소리를 했다.
조선일보 김대중 고문이 세종시 수정안과 관련해 이명박 대통령을 정면으로 비판한 것으로,
김 고문은 26일자 칼럼 <'세종 시(市)'로 두 번 실패하는 MB>에서 "퇴장(退場)에도 '아름다운 퇴장'이 있듯이 실패에도 '의연한 실패'가 있을 수 있다"고 하며 퇴장을 언급한 것이다.
특히 특위에서 부결된 세종시 수정안을 국회 본회의에서 표결하려는 시도에 대해 언급하며 정부여당이 세종시 수정안 철회를 자진철회 방식이 아닌 국회 표결로 기록에는 남기겠다는 것과, 수정될 경우 주려고 했던 '혜택'은 줄 수 없다고 한 것에 대해 김 고문은 "서울과 기호지방의 여당의원으로서는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자신의 의사를 기록으로 남기는 것이 결코 쉽지 않은 일"이라며 "결과적으로 자기 당 소속 의원들의 괴로움과 난처함을 아랑곳하지 않는 이 대통령의 이기주의가 참으로 돋보이는 대목"이라고 지적하였다.
특히 김 고문은 "이 정권의 아집을 그대로 보여준다", "혹시나 하는 꼼수전략의 도구" 등의 표현을 쓰며 정부여당을 강하게 질책하면서 "더욱 심각한 문제는 '세종시 수정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음에 따라 수정안의 골자였던 여러 혜택(과학비즈니스 벨트와 기업유치 등)도 없는 것이 된다'는 청와대의 방침"이라며 "이것 역시 대단히 통좁은 처사가 아닐 수 없다"고 했는데 조선일보의 사설이라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김 고문은 여러가지 조언도 아끼지 않았으며 "손익에 집착하는 기업인적(的) 사고를 버리고 정치인다운 결정을 내리는 것이 지고도 이기는 길이라며 "이쯤에서 이 대통령과 정부는 세종시 문제를 대승적으로 마무리해주기 바란다"고 결론을 맺었다.
조선일보!!!
이제 이정부의 레임덕이 시작되어 심각한 누수를 감지한 것일까?
아니면 ???
오늘 참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하루이다.
퇴장(退場)에도 '아름다운 퇴장'이 있듯이 실패에도 '의연한 실패'가 있을 수 있다. 세종시(市)를 행정수도로 만드는 대신 과학비즈니스 벨트로 만들어 보겠다는 이명박대통령의 야심 찬 시도는 6·2지방선거의 결과로 제동이 걸렸다. 이 대통령은 그 뜻을 받아들여 세종시 문제를 접겠다고 공언했다. 다만 청와대와 정부는 자진철회 방식이 아닌 국회 표결로 기록에는 남기겠다는 것이고, 수정될 경우 주려고 했던 '혜택'은 줄 수 없다고 했다. 졌으면 깨끗이 정리하는 것이 바람직한 태도다. 그런데도 MB측은 반대자의 이름을 굳이 기록으로 남기겠다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내 말에 찬동하지 않은 사람들 이름 적어 내라"는 것이며, "내 말 안 들었으니 주려던 사탕은 어림 반푼어치도 없다"는 식이다. 참으로 구질구질한 처사이며 지고도 욕먹는 일이다. 선거구민의 약 20%가 충청권 출신인 이 지역에서 찬반 의사표시는 다음 선거 때 결정적 변수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친박'계를 제외한 대다수 여당의원들에게 "나는 수정안에 찬성"이라고 드러내 보이는 것은 상당수 충청표의 이탈을 각오해야 하는 일이고, 또 이런 상황을 상대 당의 후보가 활용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 더 이상 국민에게 표를 달라고 할 이유가 없는 이 대통령에게는 개념적으로 '역사'와 '국가백년대계'가 중요한 일이겠지만, 당장 내후년 선거에 나설 여당의원에게는 당선이 더 심각한 일이다. 결과적으로 자기 당 소속 의원들의 괴로움과 난처함을 아랑곳하지 않는 이 대통령의 이기주의가 참으로 돋보이는 대목이다. 전문가들은 국회법 87조는 국가중대사(해외파병 등) 재론과 상임위 과정의 불법성을 시정하기 위한 구제조항인 만큼 무엇을 기록에 남기기 위해, 또는 혹시나 하는 꼼수전략의 도구로 사용돼서는 안 된다고 말하고 있다. 꼭 그렇게 해서라도 기록에 남길 만큼 수정안 반대가 대역죄라도 된다는 것인가. 혹시 상임위 결정이 뒤집어지는 '정치력'이나 비밀작전 같은 것이 숨겨져 있다면 또 모르되 그렇게 해서 MB가 얻는 것이 무엇인가? 그것은 그의 잔여임기에 결코 도움이 되지 않을뿐더러, 차기 집권의 재창출에도 걸림돌이 될 수 있어 결국 MB는 두 번 실패하는 대통령으로 귀결될 것이다. '충청권이 수정안에 NO한 이상, 우리도 +α의 의무가 없다'거나 '+α가 있을 경우 비충청권의 반발이 우려된다'는 것이다. 과학벨트 건설에 필요한 3조5000억원을 낼 수 없고, 삼성, 한화 등 민간기업 투자액 4조5000억원도 확약할 수 없다는 것이 정부측 설명이다. 원안의 법안에 명시된 8조5000억원 이상을 투입할 법적 근거가 없고 부처 이전에도 막대한 돈이 들어가는 만큼 다른 재원이 없다는 것이다. 이것 역시 대단히 통좁은 처사가 아닐 수 없다. 세종시 문제가 없었어도 할 수 있는 일이다. 오랫동안 충청인의 마음속에 응어리져 있는 '충청 무대접'을 풀어줄 좋은 기회이고, 어쩌면 그것이 MB의 지역차별화 해소 노력으로 역사에 남을 수도 있다. 수도를 분할하는 부처 이전이 국가백년대계를 위해 합당한 일이 아니라는 명제는 여전히 평가받을 일이다. 하지만 일단 주민의 선택이 그렇게 된 이상, 그 상황에서 최선의 길이 어떤 것인가는 국가대계와 별개의 문제다. 이 대통령이 원래 의도했던 대로 국토의 중부권에 활기를 불어넣고 균형발전을 도모하는 데 8조원을 투입하는 것은 충분히 가치있는 일이다. 게다가 집권당에 NO를 찍은 충청인들이 오히려 미안하게 생각하게 만들고 친박과 야당을 무안하게 만드는 일은 정치적으로도 통쾌한 일이다. 손익에 집착하는 기업인적(的) 사고를 버리고 정치인다운 결정을 내리는 것이 지고도 이기는 길이다. 이쯤에서 이 대통령과 정부는 세종시 문제를 대승적으로 마무리해주기 바란다.
|
'정치/사회/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카'의 능력을 보여주세요…'29만원의 기적' [프덕프덕] 최저임금으로 살아가기 (0) | 2010.07.17 |
---|---|
[훅]똥인지 된장인지를 모르는 사람들이 대한민국을 통치하며 4대강을 죽여 한반도를 절단내고 있다. (0) | 2010.07.07 |
[진실게임] 그림과 사진으로 보는 이명박과 BBK (0) | 2010.06.30 |
이것이 진정한 형제의 나라 터키 한국전쟁 참전 용사들게 감사드립니다. 형제의 나라 (대박감동)펌 (0) | 2010.06.28 |
이명박 정권의 4대강 반대만 하면 좌빨이라고 몰아 부치는 자에게 군의 임무에 대한 한 아고리언의 질문 (0) | 2010.06.28 |
올해가 한국전쟁[6.25전쟁] 발발 60주년이 되는 해인데 정신차립시다. (0) | 2010.06.25 |
70년대 유신시대 군사독제로 회기한 것인가? 중단하라 무력도발? 변하지 않는 이데올르기 전쟁 (0) | 2010.06.19 |
[보도자료] 참여연대「천안함 이슈리포트 1,2」 발간 정부는 왜 당당하게 대응하지 못하는가? (0) | 2010.06.14 |
또 도진 거짓보수들의 천안함 '마녀사냥', 이번엔 참여연대 (0) | 2010.06.14 |
예견된 나로호의 실패 이명박가카는 절대 잘못이 없습니다. 습성이 그럴뿐입니다. (0) | 2010.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