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3월 8일...
2011년의 꽃맞이의 첫 손님은 바로 복수초입니다.
낙엽 속 키작은 복수초는 그렇게 수줍은 미소로 환하게 웃어줍니다.
복수초라는 이름을 처음 듣는 사람은 아마도 무슨 원한에 사무쳐 복수를 꿈꾸는 것으로 오해를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복수초[福壽草]의 이름은 한자로 지어진 것으로 한자로 해석하면 복을 가지고 오래 산다는 뜻입니다.
여러해살이풀이라 목숨수[壽]자를 사용하였을 것이고
이른 봄 겨울을 몰아내고 화사한 봄소식을 전하는 노란색의 꽃이 황실에서만 사용하는 황금색이라 복 복[福]자를 붙여
그 이름을 복수초 [福壽草]라 하였을 것 같습니다.
복수초는 가운데는 샛노란 수술이 뭉쳐있듯이 모여 있으며 암술은 연한 초록빛이 감도는데 마치 익기 전의 딸기처럼 보입니다.
[2008년 3월 30일의 모습]
여느 꽃과 같이 꽃이 지면서 연한 초록빛의 열매가 보이는데
열매는 수과로 길이 1cm 정도의 꽃 턱에 모여 달리고 공 모양으로 가는 털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보통은 3월부터 열매가 드러나고 여물기 시작하는 식물입니다.
우연히 찾은 국립공원 계룡산...
갑사로 향하는 길의 한 귀퉁이에 황금색 밝은 미소로 화답하는 복수초는 온 몸을 파고드는 꽃샘추위속에 만나게 되어 그 반가움은 더합니다.
이름처럼 지금까지 가장 이른 봄에 꽃소식을 전한다고 알고 있는 매화보다도 더 일찍 봄 꽃소식을 전하는 식물로
눈 속에서도 꽃을 피운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눈 속에서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이른 봄 꽃이 피고 눈이 내려 꽃을 덮은 모습을 보고 눈 속에서 핀 것으로 다들 생각하는 것입니다.
황량하기까지 한 겨울의 언저리에 귀한 황금색의 꽃망울을 터트려 숲속을 환하게 밝히는 복수초...
복수초는 산지 숲 속 습기가 많은 그늘에서 자라며 높이는 보통 10∼30cm인데,
겨울이 다 가기도 전에 노란 꽃봉오리를 터뜨리고 햇빛이 비치는 낮에만 꽃잎을 펼치며
햇빛이 없을 때에는 꽃잎을 닫아버리는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복수초의 뿌리줄기는 짧고 굵으며 흑갈색의 잔뿌리가 많이 나옵니다.
줄기는 윗부분에서 갈라지며 털이 없거나 밑부분의 잎은 막질로서 원줄기를 둘러쌉니다.
잎은 양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에 작은 털이 있으며,
밑에서는 잎몸이 없고 밑부분뿐이며 위로 올라가면서 어긋나고 깃꼴로 두 번 잘게 갈라집니다.
최종 갈래조각은 줄 모양이고 잎자루 밑에 달린 턱잎은 갈라져 있습니다.
꽃은 보통 2월 초순부터 피고 노란색이며 지름 3∼4cm로 원줄기와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또한 여러장의 꽃잎이 포개어 피어나며 꽃잎은 연꽃을 연상케 합니다.
꽃받침조각은 짙은 녹색으로 여러 개이고 꽃잎은 20∼30개가 수평으로 퍼지며 수술은 많고 꽃밥은 길이 1∼2mm입니다.
약초로도 사용하는 복수초
생약명으로는 측금잔화라 부르고
한방과 민간에서 진통제 · 창종 · 강심제(强心劑) · 이뇨제(利尿劑)로 사용하지만 유독성 식물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2011년 3월 8일 계룡산국립공원에서 첫 화신을 복수초로 만난 계룡도령 춘월]
'1월~ 4월의 산/들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꽃] 봄을 말하고 선비를 말하고 권력을 말하는 매화[梅花]이야기 (0) | 2011.04.08 |
---|---|
[봄꽃]계룡산 국립공원 인근에는 매화보다 먼저 紅 매화가 피었습니다. (0) | 2011.04.08 |
[한국의 야생화] 작은 바람에도 흔들리는 봄꽃 꿩의바람꽃 (0) | 2011.04.07 |
[봄꽃 야생화]미나리아재비과 식물 한국특산종 노루귀이야기 (0) | 2011.04.05 |
[계룡산야생화]황금 술잔같은 봄꽃 복수초 계룡산에서 전하는 황금빛 화신 (0) | 2011.03.19 |
봄을 기다리는 성급한 마음은 벌써 새색시 같은 영춘화를 떠올리고 있습니다. (0) | 2011.02.08 |
계룡산에서 경칩에 꽃대를 올린 노루귀를 발견한 계룡도령 춘월 (0) | 2010.03.12 |
변산바람꽃 그 그리움을 향해 떠나는 발걸음은 늘 행복하다. (0) | 2010.02.23 |
소녀시대의 미소같이 상큼한 4월 봄꽃 구슬붕이 큰구슬붕이 소용담 인엽용담 구슬봉이 야생화 들꽃 (2) | 2009.05.01 |
3월 매화 홍매화 청매화 야생화 약용식물 매실나무 (0) | 2009.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