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깜짝 놀랄만한 기사가 떳습니다.
‘광우병 증상’ CJD 국내 첫 사망 확인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보고도 놀란다고...
광우병 이야기만 나와도 미국산 쇠고기의 공포가 엄습합니다.
식물을 먹고자라는 동물에게 동물성 사료를 먹여 조속히 성장하게 만든, 그것도 소의 가공 부산물을 갈아 먹인,
인간의 탐욕이 빚어낸 천형과도 같은 병이라서인지 더욱 더 그렇습니다.
가히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다고해도 과언이 아닌 것 같습니다.
‘광우병 증상’ CJD 국내 첫 사망 확인
광우병처럼 뇌에 스펀지 같은 구멍이 뚫려 뇌기능을 잃게 되는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에 걸려 숨진 사례가 확인됐다.
지금까지 CJD 증상만으로 ‘의사(유사) CJD’ 진단을 내린 경우는 있었다.
하지만, 생체 검사를 통해 CJD로 확인한 것은 이번이 국내 처음이다.
29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한림의대 김윤중 교수팀이 지난 7월 감각장애와 정신이상, 운동장애 등의 증상을 보이다 숨진 54세 여성의 생체조직을 꺼내 동물 실험한 결과 국내 첫 ‘의인성 CJD(Iatrogenic CJD)’ 환자로 최종 판명됐다.
국내에서 확인된 CJD는 2008년 기준 28건에 달하지만 이중 25건은 원인을 알 수 없는 ‘산발성 CJD’, 3건은 유전적 원인으로 발생하는 ‘가족성CJD’ 뿐이었다.
쇠고기 섭취로 인해 걸리는 ‘변종CJD’는 아직 한차례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 질환은 감염 후 잠복 기간이 20여 년 이상으로 길지만 발병 이후에는 생존기간이 1년에 불과할 정도로 짧다.
의인성CJD의 경우 국내에서는 처음 발견됐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400건 이상의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대부분 소와 같은 동물이나 사망자의 뇌 경질막이나 뇌하수체 호르몬, 각막을 이식받거나, 신경외과의 감염된 수술 장비를 사용했을 때 감염된다.
김 교수팀이 작성한 논문에 따르면 이 환자는 1987년 뇌수막종으로 절제술을 받고 사람의 뇌조직을 원료로 한 경질막을 이식한 후 CJD에 감염됐다.
김 교수는 논문에서 “환자의 뇌 전두엽 영역을 생체 조직검사한 결과 프리온 단백질의 침전이 확인됐다.”라며 “라이요두라(Lyodura)라는 제품의 뇌경질막을 이식 받은 뒤 CJD에 감염된 첫 사례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팀은 사망 환자의 뇌경질막을 추출, 동물의 뇌에 이식하는 실험을 통해 이 제품이 CJD 감염의 원인이었음을 최종적으로 확인했다.
질병관리본부도 최근 검증절차를 거쳐 의인성 CJD임을 확인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추가 사례가 더 있을 것으로 보고 국내 의인성 CJD 환자에 대한 대대적인 역학조사에 나설 예정이다.
【뉴시스】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07632.html
'지구/자연/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솔로몬제도 8.0 강진·쓰나미 발생…5명 사망, 한국은 안전한가? (0) | 2013.02.06 |
---|---|
불화 수소산[Hydrofluoric Acid], 구미를 재난지역으로 만들어 버린 불산의 진실!!! (0) | 2012.10.09 |
[희귀사진] 요정이야 외계인이야? 미확인 생명체 미이라 (0) | 2012.02.22 |
오늘 밤 개기월식으로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집니다. (0) | 2011.12.10 |
외계생명체 존재 가능한 ‘슈퍼지구’ 발견[노컷뉴스] 그곳의 지적 생명체는 어떤 종교를 믿을까? (0) | 2011.09.13 |
낙동강구간 왜관철교 붕괴로 둘러 본 우천 속 공주 금강4대강구간 "그저 한숨만..." (0) | 2011.06.28 |
[세시풍속]오늘은 자연이 우주의 기운으로 다시 살아 오르는 절기인 청명입니다. (0) | 2011.04.05 |
4대강 지천 ‘재난’ 시작됐다. 속수무책의 침식… 60㎜ 비에 물길 바뀌고… 합류지점엔 ‘모래산’ (0) | 2011.04.02 |
[4대강반대]한반도에 퍼지는 역행침식현상. KBS 추적60분 누락내용과 현장 사진 (0) | 2011.02.07 |
성미산 폭거를 자행하는 홍익학원에 대한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웹진, “e 시대와 철학”편집진 및 연구자 일동 성명서 (8) | 2010.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