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의 소금 호수 'Salar de Uyuni' 남 아메리카의 볼리비아에 있는 Salar de Uyuni 는 세계 최대의 소금 호수로 그 넓이가 벨기에와 맞먹는12,000 평방km에 달한다.
고도 3,650m인 안데스 고원에 있으며 Salt flats에 깔린 소금 두께는 1~2m, 깊은 곳은 20m에 이르고 121m되는 곳도 있다고 한다.
이 소금 호수의 중앙에 서면 사방이 하늘과 땅(소금호수)이 맞닿는 신비의 세계에 온 느낌이 드는데........
12월부터 3월까지 우기에 비가 많이 오면 25cm정도 덮인 물이 하늘과 구름을 거울같이 반사하여 천지일체가 되는 신비로운 경치가 연출된다.
특히 밤에는 광대한 평원 하늘과 땅에 별이 가득 차는 장관이 펼쳐진다.
건기가 되면 물은 다시 증발하거나 아래로 하강하여 호수는 30cm정도의 딱딱한 소금 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호수의 물은 바다 물보다 8배 정도 염도가 높다고 한다.
호수의 한 쪽에는 세계에서 하나밖에 없는 소금벽돌로 만든 소금호텔이 있다.
바다 속에 있던 이 땅이 지구의 대륙판 이동에 따른 지각 변동으로 솟아 올라 안데스 산맥을 이루게 되었고,
이 지역은 해발이 무려 3,650m인 안데스 고원으로 사방이 산으로 둘러 쌓여있어 바닷물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갇혀있는 호수가 되었고,
건조한 기후로 인해 수분은 증발되고 소금만 남았다.
오늘 날에도 이곳의 소금은 인력이나 장비로 채취되고 있으며 우유니 북쪽 20km에 있는 Colchani 공장에서 추출 정제되어 주로 국내 소비에 충당된다고 한다.
칠레로 연결되는 철도 역이 있는 작은 도시인데...
세계 최대의 소금 호수의 동쪽 끝에 붙어 있어 잉카 트레일과 더불어 남미 관광의 백미로 일컬어지는 Salar de Uyuni Tour의 기지로 알려지게 된 곳이다.
건기에는 소금만 온 천지를 하얗게 덮고 있는데,
여기에서 생산된 소금 블록의 단면을 보면 흐른 세월을 따라 겹쳐 쌓인 자국이 나이테 같은 줄 무늬로 나타난다.
그리고 잘라낸 자리에 고인 물은 3개월이 지나면 다시 소금 결정으로 된다고 하며,
Colchani의 연간 소금 생산량은 19,700톤으로 그중 18,000톤은 식용으로 나머지는 가축용으로 사용된다고 한다.
남아프리카 볼리비아의 세계 최대 소금 호수 'Salar de Uyuni' 우리 인간에게 혜택을 주는 곳
이곳도 역시 사람의 발길이 많아지면 훼손되고 오염 될 것이다.
그저 인간이 지구 최대의 오염원인 것이다.
[2008년 12월 27일 계룡산에서 계룡도령 춘월]
'여행/풍경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창오리떼와 쇠기러기등 겨울철새 탐사를 제대로 해보자면... (0) | 2009.01.02 |
---|---|
군산으로 철새찾아 철새따라 다닌 길.. (0) | 2008.12.31 |
철새찾아 철새따라 다닌 길 (0) | 2008.12.31 |
기축년[己丑年] 새해 전국서 해맞이 행사 (0) | 2008.12.31 |
중국 산서성 다퉁시에 있는 현공사(懸空寺) (0) | 2008.12.27 |
중국 감숙성 돈황시 명사산의 월아천 (0) | 2008.12.27 |
땅으로 내려온 별 이야기 (0) | 2008.12.18 |
충남 청양 운곡리를 거쳐 보령의 대천해수욕장까지 (0) | 2008.12.01 |
충남 보령시 대천해수욕장 겨울 바다의 일몰 (0) | 2008.12.01 |
이 아침 계룡산에는 겨울비가 내린다. (0) | 2008.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