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룡산 썸네일형 리스트형 7월 나리 참나리 야생화 들꽃 약용식물 약초 참나리 [tiger lily]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Lilium tigrinum 분류 백합과 분포지역 한국·일본·중국·사할린 등지 서식장소 산과 들 크기 높이 1∼2m 나리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자라고 관상용으로 재배하기도 한다. 비늘줄기는 흰색이고 지름 5∼8cm의 둥근 모양이며 밑에서 뿌리가 나온다. 줄기는 높이가 1∼2m이고 검은빛이 도는 자주색 점이 빽빽이 있으며 어릴 때는 흰색의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5∼18cm의 바소꼴이며 녹색이고 두터우며 밑 부분에 짙은 갈색의 주아(珠芽)가 달린다. 꽃은 7∼8월에 피고 노란빛이 도는 붉은 색 바탕에 검은빛이 도는 자주색 점이 많으며 지름이 10∼12cm이고 4∼20개가 밑을 향하여 달린다. 화피 조각은 .. 더보기 6월 나리 털중나리 약용식물 약초 야생화 털중나리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Lilium amabile 분류 백합과 분포지역 한국, 중국 북동부 자생지 산지 크기 높이 50∼100cm 산지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 50∼100cm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윗부분이 약간 갈라지며 전체에 잿빛의 잔털이 난다. 비늘줄기는 길이 2∼4cm, 지름 15∼25mm로 달걀 모양 타원형이다.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이거나 바소꼴이며 길이 3∼7cm, 나비 3∼8mm이다. 둔한 녹색이고 끝이 뭉뚝하거나 뾰족하며 양면에 잔털이 빽빽이 난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잎자루가 없으며 위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진다. 꽃은 6∼8월에 피는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5개씩 밑을 향하여 달린다. 화피갈래조각은 바소꼴이고 6개이며 길이 4∼7cm, 나비 10.. 더보기 연꽃이 가르치는 삶에 대한 10가지 생각 연꽃의 중요한 여러 상징 중에 가장 큰 특성은 식물은 보통 꽃이 먼저 피고 수분을 하여 씨앗(열매)을 맺고 꽃이 지며 씨앗을 드러내지만 연은 꽃이 피면서 씨앗도 함께 생겨난다는 것이다. 이것은 생사불이(生死不異)"라고 하여 즉 생(生=꽃이 피어 태어남)과 사(死=씨앗/죽음)가 하나라는 뜻을 알려주는 특이한 꽃이다. 사찰에는 대개 일주문을 지나면 불이문(不二門)문이 나오는데 부처님의 생과 사가 둘이 아니고 하나라는 불이문(不二門)뜻과도 연꽃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제염오(離諸染汚)ㅡ연꽃은 오염된 진흙 궁창에서 자라지만 결코 더러운 궁창물에 물들지 않는다. *불여악구(不與惡俱)ㅡ연잎 위에는 한방울의 오염물도 머무르지 못한다. *계향충만(戒香充滿)ㅡ연꽃이 피면 궁창의 나쁜 냄새는 모두 사라지고 향기로.. 더보기 계룡산에 소나기처럼 비가 내립니다. 어젯밤부터 비가 내립니다. 기상청의 예보와는 달리...오전, 한동안 흐리기만 하던 날씨가 갑자기 소나기처럼 쏱아 붓는다. 3시경 내려쬐는 햇빛속에 잠시 비는 소강상태를 보이고...그저 부는 바람처럼 갑사로 향했다. 갑사에 도착해서 조금 걷는데...다시 비가 쏱아진다. 하얗고 노란 비옷으로 무장한 무더기의 등산객들ㅎㅎㅎ우산을 들고 카메라는 메고 이곳 저곳 숲속을 살피는 내 모습이 신기한지다들 한마디씩 던진다. 운이 좋아서인지 지난주에는 만나지 못한 흰망태버섯을 더 완전한 모습으로 만났다. 몇몇 분들이 날 보고 "계룡도령"님이세요?라 묻는다.그저 빙긋이 웃으며 눈인사만 하였다.ㅎ~~말이 길어지면 "한잔합시다" 소리가 내입에서 또 튀어 나올듯하여~~~ ㅡ.,ㅡ 오락가락 비는 계속 끊일 듯 이어지고...간간이 .. 더보기 6월 싸리 싸리나무 들꽃 빗자루 싸리 [싸리나무]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낙엽관목. 학명 Lespedeza bicolor 분류 콩과 분포지역 한국·일본·중국·우수리강 자생지 산과 들 크기 높이 2∼3m 산과 들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 2∼3m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3장의 작은잎이 나온 잎이다. 턱잎은 가늘고 길며 짙은 갈색이고 길이 약 5mm이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이거나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다. 겉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에 눈털이 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7∼8월에 붉은 자줏빛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은 얕게 4개로 갈라지고 뒤쪽의 1개는 다시 2개로 갈라지며 끝이 뾰족하다. 꼬투리는 넓은 타원형이고 끝이 부리처럼 길며 1개의 종자가 들어 있고 10월에.. 더보기 6월 나무 신나무 단풍나무과 신나무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단풍나무과의 낙엽소교목. 학명 Acer ginnala 분류 단풍나무과 분포지역 한국·일본·중국 자생지 산과 들 크기 높이 약 8m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 약 8m이다. 나무껍질은 검은빛을 띤 갈색이며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고 세모진 타원형이거나 달걀 모양이며 밑부분이 흔히 3개로 갈라진다. 길이 4∼8cm, 나비 3∼6cm로서 가장자리에 깊이 패어 들어간 흔적과 겹톱니가 있다. 겉면은 윤이 나고 끝이 길게 뾰족하며 잎자루는 길이 1∼4cm로서 붉다. 꽃은 5∼7월에 노란빛을 띤 흰색으로 피고 복산방꽃차례[複揀房花序]에 달리며 향기가 난다. 양성화와 단성화가 있고 꽃받침조각은 긴 달걀 모양이고 꽃잎은 타원 모양이며 각각 5개씩이다. 수술은 8∼9개, 암술은 1개이.. 더보기 6월 포도 청포도 이육사 청포도 - 이육사 내 고장 칠월은 청포도가 익어 가는 시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저리주저리 열리고 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열고 흰 돛 단 배가 곱게 밀려서 오면내가 바라는 손님은 고달픈 몸으로 청포를 입고 찾아온다고 했으니 내 그를 맞아 이 포도를 따 먹으면 두 손은 흠뿍 적셔도 좋으련 아이야 우리 식탁엔 은쟁반에 하이얀 모시 수건을 마련해 두렴 청포도는 아니지만2~30년은 후퇴한,군사독재시절 보다 더한 폭압의 이시절에주권재민의 민주주의를 기다리는 마음으로이육사님의 "청포도"를 올려본다. [2008년 6월 27일 계룡산에서 익어가는 포도를 만난 계룡도령 춘월] 더보기 6월 들꽃 우산나물 삿갓나물 나물 꽃 야생화 우산나물의 꽃을 담아 놓고도 한참을 잊고 있었다. 우리의 삶도 누군가로 부터 조금씩 잊혀지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긴 인생이란 그믐달 아래서 내 그림자를 찾는 것과 같은 것이니... [2008년 6월 21일 계룡산 갑사 구룡암에서 계룡도령 춘월] 더보기 6월 수염가래 세미초(細米草) 과인초(瓜仁草) 반변하화(半邊荷花) 약용식물 꽃 수염가래꽃 [鬚髥─]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숫잔대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Lobelia chinensis 분류 숫잔대과 분포지역 한국·일본·타이완·중국·인도·말레이시아 자생지 논둑, 습지 크기 가지 길이 3∼15cm 세미초(細米草)·과인초(瓜仁草)·반변하화(半邊荷花)라고도 한다. 논둑과 습지에서 자란다. 옆으로 벋어가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며 마디에서 갈라진 가지가 곧게 3∼15cm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2줄로 배열하며 바소꼴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줄기와 더불어 털이 없다. 꽃은 5∼8월에 피고 자줏빛으로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며 작은꽃자루가 길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화관은 5개로 중앙까지 갈라져서 한쪽으로 치우쳐 좌우대칭이 된다. 열매는 삭과로서 9월에 익는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중.. 더보기 6월 자귀나무 소쌀나무 합환목 유정수 꽃 약용식물 자귀나무 [silk tree]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낙엽소교목. 학명 Albizzia julibrissin 분류 콩과 분포지역 한국(황해도 이남)·일본·이란·남아시아 자생지 산, 들 크기 높이 3∼5m 합환목·합혼수·야합수·유정수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 줄기가 굽거나 약간 드러눕는다. 높이 3∼5m이고 큰 가지가 드문드문 퍼지며 작은 가지에는 능선이 있다.잎은 어긋나고 2회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낫같이 굽으며 좌우가 같지 않은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작은잎의 길이는 6∼15mm, 나비는 2.5∼4.0mm 정도로서 양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의 맥 위에 털이 있다. 꽃은 연분홍색으로 6∼7월에 피고 작은 가지 끝에 15∼20개씩 산형(傘形)으로 달린다. 꽃받침과 화관은 얕게 5개로 .. 더보기 이전 1 ··· 38 39 40 41 42 43 44 ··· 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