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월 썸네일형 리스트형 8월 짚신나물 산짚신나물 들꽃 야생화 꽃 약용식물 짚신나물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Agrimonia pilosa 분류 장미과 분포지역 한국·일본·중국·인도·히말라야·몽골·아무르·시베리아·유럽·사할린 등지 서식장소 풀밭이나 길가 크기 높이 30∼100cm 풀밭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가 30∼100cm이고 전체에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5∼7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크기가 고르지 않지만 끝에 달린 3개는 크기가 비슷하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작아지며 긴 타원 모양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자루 밑 부분에 1쌍의 턱잎이 있는데, 턱잎은 반달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아랫부분 가장자리에 몇 개의 큰 톱니가 있다. 꽃은 6∼8월에 황색으로 피고 줄기와 가지 끝에.. 더보기 8월 백일홍 들꽃 백일초 꽃 외래종 백일홍은백일홍 꽃속에 또다른 꽃[?]이 있다.백일홍은 7월부터 피고 지고 피고 지고 9월말까지 간다.거의 100일에 가깝다.그래서 백일초라고도 불리운다. 멕시코 원산의 잡초를 개량하여 그 종류도 여러가지인데꽃의 색상이나 모양도 셀 수 없이 많다. 어쨋거나 아름다운 모습으로 인간에게 기쁨을 주니이 또한 고마운 일이지 않은가. [2008년 8월 29일 계룡산 갑사입구 괴목근처에서 계룡도령 춘월] 더보기 8월 영아자 염아자 무잔대 민다래끼 들꽃 꽃 야생화 영아자 쌍떡잎식물 힙판화군 초롱꽃목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Phyteuma japonicum 분류 초롱꽃과 분포지역 한국 ·일본 ·중국 북동부 ·시베리아 동부 서식장소 산골짜기 낮은 지대 크기 높이 50∼100cm 산골짜기 낮은 지대에서 자라는데 지역에 따라 '염아자' '무잔대' '민다래끼' 라고도 한다. 줄기는 곧게 서고 약간 모가 지며 높이 50∼100cm이고 능선과 더불어 다소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밑에서는 자루가 있으며 긴 달걀 모양으로서 양 끝이 좁고 표면에는 털이 약간 있으며,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7∼9월에 피고 보라색이며 잎겨드랑이에 총상으로 달린다. 꽃잎은 깊게 5개로 갈라져서 젖혀지며 갈래꽃같이 보인다. 수술은 5개이고 수술대에 털이 있으며 암술은 1개이고 길이 1∼.. 더보기 논산 손소아과 손영기박사님과 함께한 위대한밥상 간장찜닭과 낚지볶음 가을 하늘의 아름다운 구름을 이고 백제의 고도 부여로~~~ 햇살은 뒤늦은 따가움을 유지한채 내려 쪼이고 등에는 땀이 흘러 강을 이룬다. 오후 6시경 부소산성과 고란사 낙화암을 둘러보고 나올 때 하늘은 붉게 타오르고 있었다. 6시30분에 진료를 마치는 논산 손소아청소년과의원의 손영기원장님을 만나러 가는길... 논산에 다가서자 태양은 지평선 너머로 모습을 감추려하고 있다. 오늘은 어떤 맛집에서 식사를 하게 될지 기대를 하고 병원앞에 도착하니 영유아건강검진에 관한 한 대한민국 최고이신 손영기박사님께서는 역시나 주차장에 마련된 화단을 관리하고 계셨다. 오랜만에 형수님과 함께 예전 "예닮가"가 출산을 이유로 문을 닫아 "위대한 밥상"으로 바뀐 가게로 향했다. 예닮가 예닮이 엄마는 딸을 출산했다고 한다. 나는 아들.. 더보기 옛 길따라 역사따라 [벡제의 한 부여 부소산성 고란사 낙화암] 오늘 공주에 볼일이 있어서 갔다가 뜬금없이 고란사에 가고싶어 백제의 고도 부여로 향했다.공주시와 부여군을 합쳐서 백제시로 만들면 훨씬 더 빨리 역사의 도시 백제의 고도로 발전 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면서하지만 각 시와 군의 고위관료들은 자신의 위치를 잃게 될까봐 통합을 반대할 것이라는 생각도 함께 하면서... 부소산의 부소산성은 백제의 마지막 왕성으로 백제 시대에는 사비성으로 불렸다. 부여군 부여읍의 서쪽에 백마강을 낀 부소산에 자리하고 있으며, 둘레는 대략 2.2km, 면적은 약 74만㎡에 달한다. 부소산성은 부소산 정상에 테뫼식 산성을 쌓은 후, 주변을 포곡식으로 쌓은 복합 산성이다. 부소산성 주변에는 다시 청산성과 청마산성 등의 보조 성이 있으며, 남쪽에는 성흥산성의 지원을 받았다. 과거의 군수품 창.. 더보기 옛 길따라 역사따라 [백제의 한 부소산성 반월루에서 바라 본 부여시가지 파노라마] 9월 3일 불쑥 부여 부소산성으로 갔다.반월루에 올라 내려다 보이는 부여시가지를 파노라마로 담아 보았다. 너무 넓어 3번으로 나눈 것6번으로 나눈 것으로 올려 본다. 혹시 필요한 분은 연락을 주시면 용도에 맞는지를 검토후 5490x482 사이즈로 보내 드리겠습니다 [2008년 9월 3일 충남 부여군 부소산성에서 계룡도령 춘월] 더보기 8월 산딸나무 꽃 야생화 들꽃 나무 산딸나무 [山─]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층층나무과의 낙엽소교목. 학명 Cornus kousa 분류 층층나무과 분포지역 한국·일본·중국 자생지 산지의 숲 크기 높이 7∼12m 산지의 숲에서 자란다. 높이 7∼12m이다. 가지가 층층나무처럼 퍼진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 타원형으로 길이 5∼12cm, 나비 3.5∼7cm이다. 끝이 뾰족하고 밑은 넓은 쐐기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나 약간 물결 모양이다. 뒷면 맥액(脈腋)에 털이 빽빽이 난다. 곁맥은 4∼5쌍, 잎자루는 길이 3∼7cm이다. 꽃은 양성화로서 6월에 피고 짧은가지 끝에 두상꽃차례로 모여 달리며 꽃잎 같은 4개의 하얀 포(苞)로 싸인다. 포조각은 좁은 달걀 모양이며 길이 3∼6cm이다. 꽃잎과 수술은 4개씩이고 암술은 1개이며 20∼30개.. 더보기 8월 제비동자꽃 동자꽃 들꽃 꽃 야생화 제비동자꽃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Lychnis wilfordii 분류 석죽과 분포지역 한국(대관령 이북)·일본·중국 북동부 서식장소 풀밭 크기 높이 50∼80cm 제비동자꽃은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50∼80cm이다. 전체에 털이 없으며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마주 달리고 자루가 없으며 바소꼴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짙은 홍색이며 취산꽃차례에 달린다. 포는 선형 또는 선상 바소꼴이고 작은꽃줄기에 황갈색 털이 있다. 꽃받침은 통처럼 생기고 5개로 갈라진다. 꽃잎은 5개로서 윗부분이 잘게 갈라지고 후부에 비늘조각이 2개씩 있다. 수술은 10개, 암술머리는 5개이고 씨방은 긴 타원형이며 열매는 삭과(殼果)로 9월에 결실한다. 끝이 5개로 갈라진다. 동자꽃같.. 더보기 8월 가는장구채 한국특산종 들꽃 꽃 야생화 가는장구채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한해살이풀. 학명 Melandrium seoulensis 분류 석죽과 분포지역 한국 중부 이남 서식장소 그늘진 곳 크기 높이 약 60cm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전체에 가는 털이 나 있고 밑부분이 옆으로 기는데, 땅에 닿은 마디에서 뿌리가 나온다. 위쪽 줄기는 곧게 서서 많은 가지를 내며 높이는 60c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달걀 모양으로 윗부분이 뾰족하다. 꽃은 7∼8월에 원뿔형 취산꽃차례로 줄기와 가지 끝에 피는데, 대체로 흰색이고 가끔 황백색으로 피기도 한다. 꽃자루는 가늘고 길다. 꽃잎과 꽃받침은 각각 5개이고 수술은 10개이며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는 달걀형 공 모양 삭과로서 열매가 익으면 꽃받침이 자라서 열매를 둘러싸게 된다. 종자는.. 더보기 8월 지느러미엉겅퀴 엉거시 엉겅퀴 들꽃 야생화 꽃 약초 약용식물 지느러미엉겅퀴 [welted thistle]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학명 Carduus crispus 분류 국화과 분포지역 동북아시아 ·유럽 서식장소 산과 들 크기 높이 70∼100cm 엉거시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줄기는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가 70∼100cm이며 지느러미 모양의 좁은 날개가 있고 날개의 가장자리에 가시로 끝나는 톱니가 있다.뿌리에서 나온 잎은 꽃이 필 때 말라 없어진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 모양의 바소꼴이고 길이가 5∼20cm이며 깃꼴로 깊게 또는 얕게 갈라지고 밑 부분이 잎자루가 없이 줄기의 날개로 이어지며, 잎 가장자리에 가시로 끝나는 톱니가 있고, 잎 뒷면에 거미줄 같은 흰색 털이 있다. 꽃은 6∼8월에 자주색 또는 흰색으로 피고 가지 .. 더보기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