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풍경이야기

나라굿 2011 계룡산산신제 산신거리/작두거리/구제역 천도제 국태민안기원

 

단기 4344년 "대한제국 중악120년" 2011 제14회 계룡산 산신제가 2011. 4. 15 ~ 4.18 (4일간) 계룡산 신원사 중악단 및 계룡면 양화리 특설무대에서 펼쳐졌습니다.

 

예로부터 신령스러운 산으로 여겨지는 계룡산은 신라 때는 5악의 하나로 제사를 지내 왔으며 조선시대에는 북쪽의 묘향산을 상악으로, 남쪽의 지리산을 하악으로, 중앙의 계룡산을 중악으로 해 단을 모시고 산신에게 제사를 지내며 계룡산 산신제는 국내 유일의 유교, 불교 무교를 아우르는 종합산신제로 다양한 종교의 조화로운 축제의 한마당이 되었으며 이제 신원사 중악단에서 진행되는 불교식 제례만 남겨두고 있습니다.

 

충남 공주시 계룡산 산신제 보존회[회장 이성영]에서 주최하는 이번 축제는 지난 1998년 복원 해 올해로 14번째를 맞이하고 있으며, 유․불․무가식 산신제와 다양한 공연행사가 진행되었습니다.

 

계룡산국립공원의 아름다운 자연과 신원사를 배경으로 양화리 '기찬마루' 다목적회관 특설무대에서 CMB 대전방송의 유명 진행자 방송인 이명순씨의 깊이 있는 표현, 재치있는 말솜씨와 특유의 화사한 미소가 가득찬 관람객들과 어우러진 유가식 수신제례, 무가식 산신제례, 한국무용, 민요, 판소리, 산신각의 무가식 산신제등 다양한 공연이 펼쳐졌으며 공연내용 또한 격조높은 것이어서 관람객들 모두 탄성을 자아내게 했습니다.

 

마을굿와 나라굿은 15일과 16일 이틀간 연이어 펼쳐졌으며 15일의 마을굿 산문열기(본향거리)에서는 양화리 지역의 무당과 악사들이 참여 하였고, 16일의 나라굿에는 서울시무형문화재20호 기능보유자 이명옥 남이장군사당보존회장이 직접 출연하여 제를 관장하고, 케이블방송 TVn의 프로그램 엑소시스트에 출연 중인 무속인 이찬엽씨가 출연하여 직접 작두거리를 시연하며 관중들의 큰 호응을 얻었고, 이어진 복나눔행사에서는 수많은 사람들이 몰려 진행이 어려울 정도의 인기몰이를 했습니다.

 

 

15일 펼쳐진 양화리 마을 굿 산문열기(본향거리)에서는 계룡산 지역 굿의  형태를 보여주며 진행되었습니다.

 

 

양화리 마을 산신제는 계룡산 산신에게 행사의 시작을 고하고 행사가 무사 무탈하게 잘 이루어지고 참석한 모든 이와 지역에 복을 내려 줄 것을 기원하는 굿이었습니다.

 

 

이어 16일 열린 서울시무형문화재20호 기능보유자 이명옥 남이장군사당보존회장이 직접 출연하여 제를 관장한 나라굿은 국태민안을 기원하고 구제역 살처분된 동물들의 연혼을 천도하는 굿으로 서울 굿의 진수를 선보였습니다.

 

 

이날 굿에 참여한 연주단은 임채현, 이한복, 강차욱씨가 참여 하여 우리 전통무악을 선보였습니다.

 

 

굿은 서울시무형문화재20호 기능보유자 이명옥 남이장군사당보존회장의 집전으로 이루어 졌으며 서울 굿의 굿거리 구성은 12거리를 다 선보이려 하였으나 주당물림, 부정거리, 부군.산신거리, 불사거리, 가망거리, 대안주거리, 제석거리, 성주거리,창부거리, 작두거리 등 10거리로 진행되었으며 굿에서 대접받지 못한 잡귀, 잡신들을 위한 뒷전으로 나라굿은 끝을 맺었습니다.

 

 

무속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마땅히 물을 곳이 없어 일일이 다 설명할 수 없어 안타깝지만 다음 기회에는좀 더 다양한 정보로 설명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굿거리 중 바라춤은 2번 하게되는데...
그 이유는 모릅니다.
^^

굿을 보다 보면 만나게 되는 오방기[오방색기]는 오방기는 글자 그대로 다섯가지 방향을 나타내며 동서남북과 중앙을 합쳐 오방을 색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동쪽은 木으로 청색이며 청제신장으로 낳아 기름을 주관하고,
남쪽은 火로 적색이고 적제신장으로 빛과 열을 주관하고,
서쪽은 金으로 백색이며 백제신장으로 성숙과 저장을 주관하며,
북쪽은 水로 흑색이고 흑제신장으로 생명의 생사를 주관하고,
중앙은 土로 황색이며 황제신장으로 조화를 주관하는 것으로 의미를 나타냅니다.

 

이렇게 표현된 오방기는 실제로 무속에서 상당히 많이 활용을 하게되는데, 굿의 초기에 神을 청할 때 사용하기도 하며, 굿을 마무리 할 무렵이나 진행중에 그 날 굿의 결과를 점치는 데 사용하기도  하며, 또는 굿의 종류에 따라 무속인에게 접신 된 신의 말을 그 날 굿을 의뢰한 제가집에 전달하는 매체로 사용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특별 출연 서울시무형문화재20호 기능보유자 이명옥 남이장군사당보존회장

 

 

그리고 굿의 한 종류인지...

아니면 굿의 과정인지는 알지 못하나 다양한 종류의 천을 찟어 내는 과정이 있는데 이는 해원을 의미하는 듯 하였습니다.

 

 

또 하나 궁금한 것은 굿을 하는 도중 수많은 의상들을 겹처 입고는 하나 하나 벗어 가며 진행을 하는데...
어떤 의미인지 어떤 과정인지...^^
누가 좀 알려 주세요!!!

 

[누가 이분 연락처 좀 알려주시거나 연락 좀 부탁드립니다. 딸과 찍은 사진을 전해 드려야 하는데...]

 

모든 행동과 과정들이 모르는 사람의 눈에는 그저 신기할 뿐이었습니다.

 

 

두번째 등장하는 바라무...

 

 

이어 칼춤[?]을 선보이는 이찬엽씨...

 

 

이어 작두를 타기위해 접신[?]을 시도하는지 이찬엽씨의 격렬한 몸동작으로 춤을 추며 작두날의 예리함을 관중들에게 보여줍니다.

 

 

아울러 자신이 탈 무거운 작두날을 입에 물고 춤을 추다가 작두날을 떼어 내려는데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 없는 듯이 붙어 버린 작두날을 떼어 내기 위해 많은 사람들의 도움을 받는 모습이 보여집니다.

 

 

이어서 작두날 위에 올라서는 이찬엽씨...

행사를 위해 급조한 작두대[?]가 아슬 아슬해 보입니다.

 

 

물론 날카로운 작두날 위에 올라선 이찬엽씨는 더욱 더 아슬 아슬해 보이고...

 

다음 계룡산 산신제 때에는 보다 안전한 작두대가 마련되어 보다 안전한 작두거리 굿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도 담아 봅니다.

무려 4명의 장정들이 입에 한지를 물고 작두대를 지탱하기 위해 용을 쓰고 있습니다.
^^

 

 

이어 작두신을 받은[?] 이찬엽씨의 오방기를 이용한 복나눔[?] 점사가 많은 사람들의 관심 속에 이어졌습니다.

 

 

끝으로 새로이 신을 받아 공부하는 애기무당[?]들의 공연이 이어졌는데 아마도 이런 무대를 통해 자신의 실력을 점검하고 큰 자리의 굿에서 자신감도 얻기 위한 것으로 보였습니다.

애기무당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는지는 모르지만 부디 훌륭한 무당으로 성장하여 돈벌이 수단이 아니라 어렵고 힘든 사람들의 어려움과 고통을 풀어주는 좋은 덕을 많이 쌓기를 바랍니다.

 

무속도 우리의 소중한 전통 문화의 한 줄기이니 미신이라고만 터부시 할 것이 아니라  계승 발전을 위해 다 같이 노력해야 할 것 같습니다.

 

사실 과학이라는 것이 당 시대의 보편타당한 논리인 것이지 절대적 진리가 아님을 알아야하며 현대에서 과학이라는 것으로도 풀리지 않는 많은 현상들이 무속의 세계에서는 당연한 듯 이루어지고 표현되는 것들이 너무도 많습니다.

이러한 초 우주적인 현상들에 대해 무조건 어설픈 과학의 잣대로 분석하고 답을 찾지 못하면 부정하려는 생각을 버리고 겸허히 받아 들여 밝혀지지 않은 인간과 영혼의 세계를 깊은 의식의 세계로 인정하고 받아 들이는 자세가 중요할 것 같습니다.

 

계룡도령도 살아 오면서 수많은 기이한 현상들을 체험했습니다.

그러한 현상들이 생각으로 세상을 사는 우리에게 작은 깨닳음을 주는 것으로 받아 들이고 있습니다.
 

굿이라는 다소 종교적 의미를 지닌 행사라 타 종교인들은 꺼리며 관람하지 못하였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종교라는 것은 결국 신을 찾는 것이고 그 신속에서 나를 찾는 것이니 이러한 자리에 참석하여 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것도 좋을 것이라 생각해 봅니다.

 

혹시 올해 못 오신 분들은 내년 2012년 계룡산 산신제를 반드시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

 

 

 

 

 

[2011년 4월 15일 단기 4344년 "대한제국 중악120년" 2011 제14회 계룡산 산신제에서  계룡도령 춘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