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풍경이야기

[화천여행]청동기 문화가 숨쉬는 산과 물의나라 화천의 삶을 담은 화천민속박물관

 

'4대강 화천구간서 대규모 청동기주거지 확인'



무슨 말이냐구요?
지난 2010년 12월 7일 화천에서 발견된 청동기 주거지 발견에 대한 뉴스가 대대적으로 알려진 기사 중 하나의 제목입니다.

내용을 보면...
=================
4대강 살리기 사업 구간인 강원 화천군 거례리 북한강변에서 기원전 10세기 전후의 대규모 청동기시대 주거지가 확인됐다.

이 유적은 한성백제 초기의 변경 취락으로 드러난 화천군 원천리 유적과 강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곳에 위치해 있다.

 

한백문화재연구원(원장 서영일)은 7일 거례리 북한강변 일대 경작지를 조사한 결과 청동기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주거지 145기 가운데 43기와 수혈(竪穴ㆍ구덩이) 10기, 도랑 모양 흔적 2기, 그리고 삼국시대 횡혈식 석실분(橫穴式石室墳ㆍ옆트기식 무덤) 1기 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청동기시대 주거지에서는 청동기 전기~중기의 유물로 평가되는 적색 마연토기와 무문토기, 공렬문토기(구멍뚫음토기) 등의 토기류와 함께 도끼, 칼, 화살촉 등 석기류가 수습됐다.

 

조사된 주거지 중 평면 형태가 드러난 것은 37기로 세장방형(긴네모꼴) 4기, 장방형 20기, 방형 13기였으며, 각 주거지가 중복이 심한 점을 감안하면 상당한 기간을 두고 반복적으로 주거지가 형성된 것으로 파악된다고 조사단은 밝혔다.


삼국시대 석실분 1기는 현재 바닥 부분을 비롯한 하단부 일부만 남았으며, 목관이나 목곽을 짜는 데 사용한 못이 출토됐지만 도굴 구멍이 확인된 점으로 미뤄 내부 유물은 모두 도굴됐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됐다.

출토 유물이 없어 어느 국가의 무덤인지 알기 어렵지만 형태와 구조로 보아 삼국시대 석실분으로 추정됐다.

 

서영일 원장은 "거례리 유적은 인근의 화천군 용암리 유적과 마찬가지로 청동기 마을로 유례가 드문 대단위 취락"이라며 "조사가 완료된다면 한국 청동기시대의 취락 및 문화 연구에 큰 성과를 남길 수 있는 유적으로 주목된다"고 말했다.
=================

 

현재까지 알려진 화천의 역사는 이제 한성 백제에서 청동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입니다.

 

 

그러한 화천에는 산과 물, 그리고 유기농 청정 자연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살아 숨쉬는 화천의 역사와 문화가 고스란히 담긴 '화천민속박물관'이 있습니다.

 

화천군 하남면 위라리 490 [문의:033-440-2846]에 소재한 화천민속박물관은 화천 고유의 민속 문화 발굴 및 재현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잊혀져 가는 민속 문화를 되살려 전통문화계승과 발전을 위해 산촌과 하천 생활을 바탕으로 사람과 자연이 한데 어우러지는 자연 친화적인 면에 중점을 두고 건립되었습니다.


전시관은 1층(선사유적 전시실)과 2층(민족 생활 전시실)으로 구분 되어있고, 1층에는 화천 용암리에서 발굴된 청동기 시대의 토기, 도구, 장신구와 집자리 등 선사 유적과 유물이 전시되어 있으며, 1층 교육 체험실 에서는 매주 다양한 체험과 함께 전통의상 체험 프로그램이 상시 개방되어 있어 언제든 전통의상을 입어볼 수 있고 기념촬영도 가능합니다.

 

2층에서는 민족 생활 전시물과 함께 산촌과 하천마을의 일상을 재미있는 영상과 이야기로 풀어내 아이들과 어른 모두 우리 민족의 생활 모습을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또한 계단 아래의 틈새와 남는 공간을 한국적인 인테리어와 자연 친화적인 나무 마루로 단장하여 2010년 7월 ‘어린이 한실 도서관’ 을 개관, 많은 어린이들과 관람객이 편히 쉬다 갈수 있는 공간으로 가꾸어 놓았으며 박물관 앞마당에는 아이들과 가족이 맘껏 뛰어놀 수 있는 잔디마당과 전통놀이를 즐기며 체험하는 공간, 너와 지붕 정자, 연자방아, 전통 그네 등 우리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시설물들이 마련되어있습니다.

 

 

화천민속박물관에는 1968.12.19 보물  제496호로 지정된 화천 계성리 석등(華川 啓星里 石燈) 의 실제 크기의 모형이 전시되어 있는데, 고려시대에 계성리 마을에 세워진 석등입니다.

 

이 마을에는 계성사(啓星寺)의 옛터가 있으며, 절터에는 쓰러진 석탑의 일부와 종모양의 부도 등이 흩어져 있고, 이 석등은 일제 때 절터에서 약 200m밑으로 강제로 옮겨진 것으로 정확한 원래의 위치는 알 수 없다고 합니다.

 

석등에 대해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석등은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이 중심이 되어, 아래로는 이를 받쳐주는 3단의 받침돌을 쌓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는데 신라시대에는 8각, 고려시대에는 4각이 일반적이지만 이 석등은 독특하게 6각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리고 또 다른 특징은 가운데 받침돌은 원통형의 기둥에 띠를 두른 것으로, 띠를 이루는 부분에 각종 무늬를 새겨 놓았으며 원통형의 기둥은 고려시대 석등에서도 자주 볼 수 있는 것이나, 그 모양이 전라도 지방에서 유행했던 장고 모양을 닮아 있습니다.

특히 주목되는 부분인 화사석은 6개의 돌을 세워 6각을 이루게 하였는데 각각의 돌은 좌우를 반타원형으로 깎아낸 것으로, 옆돌과 맞추어져 6개의 타원형 창이 만들어져 있다는 것입니다.

 

건립연대는 고려 전기로 추정되며 현재까지 알려진 6각형 석등은 북한지역에 2기를 포함하여 모두 4기가 남아 있는데, 이 석등도 그 중의 하나로 높은 기둥 위에 놓여 있어 전체적으로 균형미가 아름다운 석등입니다.

 

 

흔히 민속박물관에서 만나게 되는 그 당시의 여러 생활 상과는 좀 다른 산촌만의 독특한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이곳 화천 민속박물관에는 원시 농법 도구인 반달형 돌칼로 곡물을 수확하는 모습을 비롯해 여러 특이한 전시물을 볼 수 있습니다.

 

 

어쩌면 그저 평범하달 수 있는 새끼꼬는 기계와 벼나 곡물들을 수확하고 타작하여 나락만 남게 하는 풍구를 보는 것도 재미납니다.

계룡도령이야 어려서부터 보아 온 것이지만, 지금 자라는 어린이와 그 부모세대에서는 보기 힘든 농기구들 일 것입니다.

한가지 아쉬운 것은 작동이 되지 않아 그저 눈으로만 보아야하니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해가 부족할 듯한다는 것입니다.

이 참에 새끼가 꼬여져 있는 모습으로, 곡물이 선별되는 모습으로 거듭 나길 기대해 봅니다.

^^

 

 

우리가 흔히 보는 논 농사 위주의 생활문화만 접하다 산촌의 생활이라는 조금 색다른 문화 환경을 만나면서 재미가 더했던 박물관의 구경꺼리는 점점 더 흥미를 끌게 됩니다.

 

 

각종 생활 용구들도 일반적인 들이나 바닷가의 생활 용구들과는 조금씩 다른 모습을 보여 주는데, 좀더 좁거나 가늘거나, 길거나의 외형적 크기가 변하된 모습은 나무가 우거지고 셩사가 많은 지역의 현실에 맞게 개량된 것으로 작은 변화속에서 산촌만의 또 다른 세상을 보는 듯하여 즐거웠습니다.

혹시 가실 분들은 평지의 민속문화와 이곳 산촌의 문화를 비교해가며 본다면 또 다른 재미를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전통 가옥의 형태와 취락 구조, 쉬이 보기 힘든 여러 사냥 도구와 눈이 많은 지역에서의 눈신과 스키와 같은 형태의 이동 도구 등 독특한 생활 용구도 큰 관심을 끄는 요소였습니다.

 

 

특히 이곳 북한강가에 위치한 화천마의 산과 물이 함께하는 생활 양식에서 물고기를 잡던 원시 어업 도구들과 재현해 둔 어촌마을 풍경, 그리고 타 지역과의 교류를 통해 나누던 물품들의 모습도 느껴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화천의 아름다움을 잘 나타낸 것으로 '곡운구곡도 [谷雲九曲圖]'가 있답니다.

 

계룡도령도 이번에 처음 안 것으로 강원도 화천 용담리 일대에서 30년 가까이 은둔 생활을 한 곡운(谷雲) 김수증(金壽增:1624~1701)이 빼어난 경치에 이름을 붙인 뒤 당대의 조세걸[사인화가(士人畵家)]에게 그리게 하고 한 작품으로 조선시대의 실경산수화가 실제 경치와 유일하게 일치하는 작품으로 문화적 가치가 매우 큰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의 자연경관 문화에는 3경(景), 8景(詠), 9景(曲), 10景(詠), 12景(詠)이 있는데 그 중 9곡은 강원도 화천의 곡운구곡(谷雲九曲), 강원도 삼척의 무릉구곡(武陵九曲), 충청도 괴산의 화양구곡(華陽九曲), 선유구곡(仙遊九曲), 고산구곡(孤山九曲)과, 황해도 해주의 고산구곡(高山九曲)등 6곳을 알려져 있는데 그중 하나이니 화천의 아름다움은 이미 조선시대부터 알려진 비경이었던 듯합니다.


새로이 화천의 곡운구곡을 반드시 다 둘러 보리라 마음을 먹게 되는 순간입니다.
^^

 

 

계룡도령이 아직 가 보진 못했지만, 곡운 구곡을 소개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제1곡 방화계[傍花溪] 
絶境端宜養性靈 白雲東畔華山北
莫年心跡喜雙淸 曲曲溪流滿耳聲

一曲難容入洞船 林深路絶來人少
挑花開落隔雲川 何處山家有吠煙(雲翁)

세상 멀리 이 경지 마음 닦기 좋으니 저문 나이 기쁨은 산과 물에 있구나
백운산(白雲山) 동쪽이라 화악산(華岳山) 북녁에 구비마다 물소리 귀에 가득 하여라.

일곡이라 세찬여울 들어오기 어려우니 복숭아꽃 피고지고 세상과 격하였네.
깊은 숲 길은 다해 오는 사람 없으니 어느곳 산가에 사는 사람 있으리
 

제2곡 청옥협[靑玉峽]

二曲  玉作峰 行行石棧仙居近
白雲黃葉暎秋容 己覺塵喧隔萬重(子 昌玉)

이곡이라 험한 산에 옥봉우리 우뚝하니 흰 구름 누른 잎은 가을빛을 발한다.
걸어 걸어 돌사다리 신선세계 가까우니 속세 떠나 몇만겹 들어온 줄 알겠네.
 

제3곡 신여협[神女峽]

三谷仙 杳夜船 起然會得淸寒趣
空台松月自年千 素石飛湍絶可憐(從子 昌集)

삼곡이라 빈터에는 신녀자취 묘연한데 소나무에 걸린 달은 천년을 흘렀세라.
청한자 놀던 뜻을 이제사 알겠으니 흰돌 위에 나는 여울 그 모양이 아름답다.
 

제4곡 백운택[白雲潭] 

四曲川觀椅翠巖 奔衆 沫無時歇
近近人松影落  雲氣尋常漲一潭(從子 昌協)

사곡이라 시냇물 푸른 바위 기대보니, 가까운 솔그림자 물속에서 어른댄다.
날뛰며 뿜는 물 그칠줄을 모르니, 기세 좋은 못 위엔 안개 가득 끼었네.
 

제5곡 명옥뢰[鳴玉瀨]

五曲溪聲宜夜餘 松門步出霜厓靜
然玉 響遙林 圖月孤琴世外心(從子 昌翕)*

오곡이라 밤은 깊어 냇물 소리 들리니 옥패를 흔드는 듯 빈 숲속에 가득하다.
솔문을 나서면서 가을밤 고요한데 둥근달 외로운 거문고 세상밖에 마음이라.
 

제6곡 와룡택[臥龍潭]

六曲幽居枕綠灣 潛龍不管風雲事
深潭千尺暎松關 長臥波心自在閑(子 昌直)

육곡이라 그윽한 곳 푸른물을 벼개삼고 천길 물 송림사이 은은하게 비친다.
시끄러운 세상일 숨은 용은 모르니 물 속에 들어누어 한가히 사누나.
 

제7곡 명월계[明月溪]

七曲平潭連淺灘 山空夜靜無人度
淸漣漣向月中看 唯有長松倒影寒(從子 昌業)

칠곡이라 넓은 못은 얕은 여울 연했으니 저 맑은 물결은 달밤에 더욱 좋다.
산은 비고 밤은 깊어 거너는 이 없으니 큰 소나무 외로이 찬 그림자 던진다.
 

제8곡 융의연[隆義淵]
八曲淸淵漠漠開 眞源咫尺澄明別
時將雲影獨松  坐見 魚自往來(從子 昌緝)

팔곡이라 함은 물 아득히 괴어 있고 때마침 저 구름 그늘을 던지누나.
맑기도 하여라 근원이 가까운가 물 속에 노는 고기 앉아서 바라보네.
 

제9곡 첩석대[疊石台]
九曲層巖更 然 飛湍暮與松風急
台成重壁暎淸川 滿洞天(外孫 洪有人)

구곡이라 층층바위 또다시 우뚝한데 첩첩히 쌓인 벽은 맑은 물에 비치네.
노을 속에 저 물결 송풍과 견주우니 시끄러운 그 소리 골짜기에 가득하다.

[金彰顯 譯]

 

그리고 화천을 빛낸 인물들을 소개하는 곳이 있었는데...
지금의 사람들에게는 '만남'의 가수 노사연의 고향이며 살던 곳이라는 것보다 현실적으로 와 닿는 것을 찾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우리 민족만의 독특한 복식을 소개 전시한 곳입니다.

이곳에서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다양한 전통의상을 직접 입어 보고 사진으로 남길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뭐, 강원도만의 특별한 느낌이라고는 할 수 없겠지만 우리 전통 문화와 그 아름다움을 체험하는 공간으로는 손색이 없 것 같습니다.

 

 

우리 한반도 역사속의 강원도...

강원도 화천은 분단의 역사속에 아직도 최전방 군사도시입니다.

여전히 민간인 수보다 군인 수가 훨씬 많은 화천에는 분단과 한국전쟁, 냉전의 아픈 추억을 여전히 간직하고 있습니다.
무명용사의 넋을 기리며 지었다는 가곡 ‘비목’의 고향이기도 하며, 인민군 사령부막사가 분단과 전쟁의 상흔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곳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제는 평화의 도시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겨울 산천어 축제 하나로 100만 명 이상이 찾고,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이 보도할 만큼 세계적인 축제의 도시로 변해 있습니다.
1년에 단 열흘 동안 치르는 산천어 축제가 낳는 경제효과만 해도 450억 원에 이른다고하니 어마 어마합니다. 

산 86%, 물 5%인 ‘산과 물의 고장’ 청정 유기농 천국 화천!!!
이제 아름다운 자연의 살기 좋은 마을로 변모해 있습니다.

 

 

'화천민속박물관'은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단체 또는 가족간의 나들이에 좋을 것 같습니다.

이제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먼저 경험한 부모로서 이것 저것 자랑스레 아는 척하며 알려 줄 수 있는 부모의 기를 팍팍 살려줄 수 있는 공간 같습니다.

^^

 
 

 

 

 

 

 

[2011년 5월 14일 청정한 자연 속 유기농 천국 강원도 화천 민속박물관을 다녀 온  계룡도령 춘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