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계룡산

5월 들꽃 메꽃 [旋花] 야생화 약초 메꽃 [旋花]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메꽃과의 덩굴식물. 학명 Calystegia japonica 분류 메꽃과 분포지역 한국·중국·일본 서식장소 들 들에서 흔히 자란다. 하얀 뿌리줄기가 왕성하게 자라면서 군데군데에 덩굴성 줄기가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상 바소꼴이며 양쪽 밑에 귀 같은 돌기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1∼4cm이다. 꽃은 6~8월에 피고 연한 홍색이며 잎겨드랑이에 긴 꽃줄기가 나와서 끝에 1개씩 위를 향하여 달린다. 꽃받침 밑에 달린 2개의 포(苞)는 녹색이며 심장형이다. 꽃은 지름 5cm 정도이고 깔때기형이다.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고 흔히 열매를 맺지 않는다. 봄에 땅속줄기와 어린 순을 식용 또는 나물로 한다. 뿌리·잎·줄기 등 전체를 이뇨·강장·피로회복 등에 효능이 있어 방광.. 더보기
5월 들꽃 개망초 왜풀 넓은잎잔꽃풀 개망풀 외래종 개망초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학명 Erigeron annuus 분류 국화과 원산지 북아메리카 분포지역 한국 서식장소 길가, 빈터 크기 높이 30∼100cm 왜풀·넓은잎잔꽃풀·개망풀이라고도 한다. 높이는 30∼100cm이다. 풀 전체에 털이 나며 가지를 많이 친다. 뿌리에 달린 잎은 꽃이 필 때 시들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달걀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밑의 것은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 바소꼴로 길이 4∼15cm, 나비 1.5∼3cm이다. 잎 양면에 털이 나고 드문드문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에는 날개가 있다. 줄기 윗부분의 잎은 좁은 달걀 모양 또는 바소꼴로 톱니가 있고 가장자리와 뒷면 맥 위에도 털이 있다. 6∼9월에 흰색 또는 연한 자줏빛 .. 더보기
5월 들꽃 끈끈이대나물 외래종 끈끈이대나물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학명 Silene armeria 분류 석죽과 원산지 유럽 서식장소 강가 또는 바닷가 크기 높이 약 50cm 유럽이 원산지이며 강가나 바닷가에서 주로 자란다. 전체에 분처럼 흰빛이 돌고,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를 치고 높이가 50cm 정도이다. 줄기 윗부분 마디 밑에서 점액을 분비하는데, 흔히 개미 같은 작은 곤충이 붙어 있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 또는 넓은 바소꼴로 길이가 3∼4.5cm, 폭이 1∼2cm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다소 줄기를 싸며 잎자루는 없다. 꽃은 5∼8월에 붉은 색 또는 드물게 흰색으로 피고 취산꽃차례(聚 -:줄기 끝에 달린 꽃 밑에서 1쌍의 꽃자루가 나와 각각 그 끝에 꽃이 1송이씩 달리고 그 꽃 밑에서.. 더보기
5월 야생화 천남성 유독성식물 천남성 [天南星] 외떡잎식물 천남성목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Arisaema amurense var. serratum 분류 천남성과 분포지역 한국 ·중국 북동부 서식장소 산지 습지 산지의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15~50cm로 외대로 자라고 굵고 육질이다. 알줄기는 편평한 공 모양이며, 주위에 작은 알줄기가 2∼3개 달리고 윗부분에서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줄기의 겉은 녹색이지만 때로는 자주색 반점이 있고 1개의 잎이 달리는데 5~11개의 작은잎으로 갈라진다. 그 작은잎은 달걀 모양의 바소꼴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바소꼴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5∼7월에 피고 단성화이며, 포의 통부는 녹색이고 윗부분이 앞으로 구부러진다. 꽃대 상부가 곤봉 모양이나 회초리 모양으로 발달하는 .. 더보기
5월 들꽃 모란과 작약의 꽃 비교 모란/목단의 꽃 작약의 꽃 색상은 그만두고 꽃의 모양으로 구분이 가능하겠는가? 나는 도저히 분별되지 않는다. 잎을 보면 모란은 오리발처럼 생겨 윤택이 없는 반면작약은 외씨처럼 생겨 윤이 난다. 참 어렵다~~~ [2008년 5월 18일 계룡산 갑사입구 농바위옆 죽림방에서 계룡도령 춘월] 더보기
5월 들꽃 고들빼기 야생화 식용식물 나물 고들빼기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학명 Youngia sonchifolia 분류 국화과 분포지역 한국·중국 서식장소 산과 들, 밭 근처, 재배 크기 높이 약 80cm 씬나물이라고도 한다. 산과 들이나 밭 근처에서 자라며 농가에서 재배하기도 한다. 높이 약 80cm이다.줄기는 곧고 가지를 많이 치며 붉은 자줏빛을 띤다. 뿌리에 달린 잎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으며 타원형이다. 길이 2.5∼5cm, 나비 14∼17mm이며 잎자루가 없고 가장자리는 빗살 모양으로 갈라진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색이 섞인 파란색인데 양면에 털이 없다. 줄기에 달린 잎은 달걀 모양이고 길이 2.3∼6cm로 밑이 넓어져 줄기를 감싼다. 불규칙하게 패인 톱니가 있으며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크기가 작아진다. 5.. 더보기
5월 무 무우 무우꽃 채소 무 [Radish]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십자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학명 Raphanus sativus 분류 십자화과 서식장소 한국·일본·중국 등 무는 배추·고추와 함께 3대 채소다. 큰 원주형 뿌리의 윗부분은 줄기지만, 그 경계가 뚜렷하지 않다. 뿌리잎은 1회 깃꼴겹잎(一回羽狀複葉)이며 어긋난다. 털이 있고 최종갈래조각이 가장 크다. 꽃줄기는 길이 1m 정도 자란 다음 가지를 치며, 그 밑에서 총상꽃차례[總狀花序]가 발달한다. 꽃은 4∼5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 또는 거의 백색이다. 십자형(十字形)으로 배열되며 작은 꽃자루가 있다. 꽃받침은 길이 7mm로서 줄모양의 긴 타원형이다. 꽃잎은 넓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쐐기형이며, 꽃받침보다 2배 정도 길다. 1개의 암술과 6개의 수술 중 4.. 더보기
5월 구근식물 감자 감자꽃 마령서(馬鈴薯) 감자 쌍떡잎식물 통화나물목 가지과의 여러해살이풀. 분류 쌍떡잎식물 통화나물목 가지과 원산지 안데스 산맥 분포지역 온대지방 크기 높이 60∼100cm 감자는 마령서(馬鈴薯)·하지감자·북감저(北甘藷)라고도 한다. 페루·칠레 등의 안데스 산맥 원산으로 온대지방에서 널리 재배한다. 높이는 60∼100cm이고 독특한 냄새가 난다. 땅속에 있는 줄기마디로부터 기는줄기가 나와 그 끝이 비대해져 덩이줄기를 형성한다. 덩이줄기에는 오목하게 팬 눈 자국이 나 있고, 그 자국에서는 작고 어린 싹이 돋아난다. 땅위줄기의 단면은 둥글게 모가 져 있다. 잎은 줄기의 각 마디에서 나오는데 대개 3∼4쌍의 작은잎으로 된 겹잎이고 작은 잎 사이에는 다시 작은 조각잎이 붙는다. 6월경에 잎겨드랑이에서 긴 꽃대가 나와 취산꽃차례를 이루고.. 더보기
5월 꽃 금난초 은대난초 은난초 야생화 금난초 [金蘭草]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Cephalanthera falcata 분류 난초과 분포지역 한국(제주·전남·경남)·일본·중국 서식장소 산지의 나무그늘 크기 높이 40~70cm, 꽃받침 길이 14∼17mm 산지의 나무그늘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40~70cm이다. 잎은 6∼8개로 어긋나고 긴 타원상 바소꼴로 길이 8∼15cm, 폭 2∼4.5cm 줄기를 싸며 끝이 뾰족하다. 꽃은 4∼5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수상꽃차례로 3∼12송이가 달린다. 꽃 밑에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의 포(苞)가 있으며 삼각형이다. 꽃잎은 꽃받침보다 짧거나 거의 비슷하고 꽃받침은 달걀모양 타원형이며 길이 14∼17mm이다. 입술 모양의 꽃잎은 화피조각에 싸여 있고.. 더보기
5월 꽃 국수나무 야생화 수국 검정꽃무지가 찬조 출연하였다. 국수나무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활엽 관목. 학명 Stephanandra incisa 분류 장미과 분포지역 한국(함북 제외)·일본·중국 서식장소 산지 크기 높이 1∼2m 수국(繡菊)이라고도 한다.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는 1∼2m이고 가지 끝이 밑으로 처지며, 잔가지는 둥글고 잔털 또는 선모가 있다. 턱잎은 달걀 모양 또는 넓은 바소꼴이다. 잎은 길이 2∼5cm로 어긋나고 세모진 넓은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표면에는 털이 없거나 잔털이 있고 뒷면 맥 위에 털이 있으며 잎자루의 길이는 3∼10cm이다. 5∼6월에 지름 4∼5mm의 연한 노란색 꽃이 새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잎은 끝이 날카롭다. 꽃잎은 5개이고 수술은 10개로 꽃잎보다 짧다. 열매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