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살면서 느끼는 것들

◈나의 금연[禁煙]일기 29일째 [2009 01-13]

 

금연을 시작한지도 벌써[?] 1달이 다 되어간다.

 

그동안 더러는 힘든 순간도 있었고...

주변의 장애가 있기도 했다.

 

이제는 주변 몇사람도 함께 금연에 동참하여 서로 겨루는 형국이 되었다.

 

현재까지의 금연에서 가장 힘든 점은 가끔씩 찾아오는 분노다.

사람이나 내 주변에서의 문제가 아니고 위정자들에 대한 분노!!!

 

이런 분노가 치밀때는 그저 담배 생각 뿐이다.

금연의지를 더 굳게 하려고 이런 힘든시기에 금연을 시작하게 된 것인지는 몰라도

 

내가 금연에 실패하더라도 제발 대한민국이 즐겁고 행복한 나라,

미래를 꿈꾸며 현실에 만족하며 살 수 있는 나라,

정치인이 있는 지도 모르게 살 수 있는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다.

 

하나에서 열가지 울화를 치밀게하는 이명박정권 덕분에 금연이 더 고통스럽다.

 

흡연과 관련한 기사를 올리면서 금연 의지를 더욱 다잡아 본다.

 

 

남이 피우는 모습만 봐도 담배에 손이 가는 이유

흡연자 ‘뇌 선조체’ 활성화 발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근영기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 흡연자 ‘뇌 선조체’ 활성화 발견

모든 흡연자들은 담배를 끊기가 어렵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미국 듀크대 과학자들은 애연가들이 왜 담배를 끊기가 어려운지 뇌 영상사진을 통해 규명해냈다고 과학전문 사이트 <라이브사이언스>가 12일 보도했다.
 

조지프 매클러논 듀크대 의대 교수(정신의학·행동과학)는 담배를 피우는 동안에 또 담배를 끊은 지 24시간이 지난 뒤 다른 사람들이 담배 피우는 장면을 봤을 때 흡연자의 뇌 영상을 관찰한 결과 뇌의 특정 부위가 활성화되는 것을 발견했다.

이 부위는 자전거를 탈 때 균형을 잡거나 거울을 보지 않고 양치질을 할 수 있는 우리 몸의 자동적인 반응을 관장하는 선조체 영역이다.

이 부위가 활성화된다는 것은 금연이 흡연자의 의식적인 통제 밖의 문제라는 것을 의미한다.

 

매클러논 교수는 “도움 없이 스스로 금연을 하는 사람들의 5%만이 성공한다”며 “담배를 끊으면 흡연을 자극하는 장면을 봤을 때 뇌의 활성화가 극적으로 증가하는데, 이는 담배를 끊었을 때 흡연 장면에 대한 뇌의 민감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애연가들이 번번이 금연에 실패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그는 설명했다.

 

매클러논 교수는 “이런 습관적인 반응을 차단할 방법을 찾아줘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의학저널 <정신약리학> 최근호에 실렸다.

 

한편, 미국 하버드대학의 매사추세츠병원 조너선 위니코프 교수 연구팀은 저널 <소아학>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옷이나 머리카락, 벽 등의 접촉을 통한 3차 간접흡연이 심각하다”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 집안에서 담배를 피우지 말 것을 권고했다.

위니코프 교수는 “담배를 피우고 난 뒤 물체의 표면이나 흡연자의 옷이나 머리카락 등에 묻은 유독물질들은 특히 아무 물건이나 빨거나 삼키고 물체 가까이에 코를 박고 숨을 쉬는 어린이들에게 간접흡연의 효과를 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근영 기자kylee@hani.co.kr


[한겨레 주요기사]

▶ 강만수, 드디어 교체되나
▶ ‘새단장한 네이버’ 약 될까 독 될까
▶ ‘유대인 로비’에 포위된 오바마
▶ “MB ‘펀드사면 부자된다’ 발언은 일기예보 틀린 것”

▶ 외환보유액 감소도 미네르바 탓? 딜러들 반응은…
▶ 검찰, 공정택 ‘대가성 의혹 14억원’ 털어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