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룡도령 썸네일형 리스트형 [논산 맛집]나눔도 하고 "풍년생선가"의 얼큰한 대구탕과 내장탕도 즐기고 지난 19일[토요일]... 논산손소아청소년과의 진료를 마친 오후 5시 경 들뜨기 쉬운 연말연시를 맞이하여 혹시 소외되었을지도 모를 내 이웃을 돌아보자는 뜻을 가지고 논산의 손소아청소년과의원 손영기원장, 팜리종로약국 이상민 약국장 . 동의한의원 임승규 원장 등이 십시일반 약간의 돈을 모아 아이들이 좋아 할 과자와 과일 라면종류를 구입하여 논산애육원 [카페 http://cafe.daum.net/nsbaby]을 다녀왔다. 비록 많은 것을 준비하지 못했지만 매년 거듭될수록 더 큰 나눔이 될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다녀왓다. 이번이 작년에 이어 두번째 방문이지만 그동안 논산손소아청소년과에서는 3만원상당의 인플루엔자 신속진단항원검사를 열이 있는 아이는 모두 무료로 실시하고, 팜리종로약국에서는 의약품을 무료로 공급하.. 더보기 [계룡산 맛집] 가을의 풍미가 가득한 "계룡산가든"의 미꾸라지 추어탕 이안숲속 수목원의 화강도예 윤숙선생님과 인연이 되어 도예를 배우면서 여러가지 생활의 패턴이 달라졌다. 우선 제일 먼저 먹는 것이다. 그전에는 가급적 나름대로 집에서 만들어 먹는 성향이 강했는데... 도예를 배우다 보니 시간이 아까워서 사먹게 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특히 이안숲속 수목원 근처에는 식당들이 많은데 평소 오가면서도 잘 들리지않는 편이라 대체로 생소하다. 하지만 화강도예 윤숙선생님이 한번 들러 본 곳이라고 하여 미꾸라지전문점 "계룡산가든"에 들렀다. 가을하면 가장 먼저 떠 오르는 것이 추어탕!!! 요즘 민물장어나 미꾸라지는 대부분이 중국에서 수입한다고 들었는데... 수입해서는 한국의 양식장에 풀어서 보름정도 두고는 원산지를 한국으로 속여서 판다는 보도도 여러번 나오고... 그래도 어쩌랴~~~ 그.. 더보기 [대전 유성 맛집]만두... 제대로 된 김치만두를 즐기려면 '우리집만두'로 가 보자. 지난 27일... 제16대 대한민국 대통령이요, 나에게는 단 한분 뿐인 영원한 대통령 노무현 대통령의 분향과 분향소 봉사를 위해 '문함대' 나락한알부부 그리고 아들 진솔이와 함께 서대전 분향소로 향하는 길... 저녘을 먹어야 할 시간이라 나락한알님이 추천하는 만두 집으로 갔다. 사실 밀가루 음식을 별로 좋아하지않는 나로서는 그다지 큰 기대를 하지않았다. 만두 하면 부산의 화교골목에서 먹던 물만두가 이미 입에 붙어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대전에서 제대로 된 만두를 먹을 수 있으리라고는 처음부터 예상을 하지 못했지 때문이다. 들어선 곳은 유성천변에 위치한 '우리집만두' 깔끔하게 단장된 가게와 벽면을 가득채운 TV방영 사진들... 서울 강남에서 시작된 우리집 만두는 만두계의 신화가 되어 몇몇 곳에 지점을 두.. 더보기 [계룡산 갑사입구 이화가든] 계룡산 맛집 메기매운탕과 쫄깃한 송어회전문 계룡산에는 내로라 하는 맛집들이 더러 있다. 그 중에서도 내가 처음 계룡산에와서 이집을 알게 된 날부터 9년 가까이 70~80 음악만을 틀어 놓아 그 세대들의 추억을 불러 일으키는 집이 있다. 노래방과 함께 송어회와 메기매운탕을 전문으로 하는 집인데, 바깥사장님이 아마도 계룡산근처에서는 제일 잘생겼을 것이다. ㅎㅎ 연일 사람들로 북적이는 이곳은 갑사 가는길 중에서도 명품길로 통하는 은행나무길가에 자리하고 있다. 예전에는 아래 사진 오른쪽의 분수자리에서 직접 송어를 키워서 손님상에 내어 놓았는데 요즘은 그러는 것 같지는 않다. 이화가든의 특징이라면 음식도 음식이지만 안사장님의 외모가 예전 만화영화 뽀빠이에 나오는 올리브를 닮았다. 가만... 그러고보니 바깥사장님은 부루터스를 닮은 것 같기도 하다. ㅋㅋㅋ .. 더보기 논산의 옻닭전문 사천식당에서 전남 구례 수현민박에서 온 옻순 샤브샤브 즐기기 여러분은 옻닭 하면 뭐가 생각나시는 지요. 나는 진한 국물의 고소함과 일년 중에 요즘에만 즐길 수 있는 옻순 샤브샤브가 생각난다. 드디어 옻순의 철이 돌아왔다!!! 지난 26일 논산 손소아청소년과의원 손영기원장님이 소속한 형제계에서 다녀온 지리산과 구례의 여행에서 구례군 산동면 위안리의 수현민박[전화 061-783-1313 / 011-619-1316 / 대표 :구대자]에 들러 구해 온 참옻순을 가지고 27일 논산시 노성면 왕전리의 사천식당에서 만났다. 수현민박은 전남 구례의 산수유축제기간에 다녀온 곳으로 정말 사람맛나는 민박이라고 침을 튀기며 강조한 곳이다. 특히 장작불로 끓인 엄나무 백숙은 일품이란다. 예전에도 몇번 사천식당의 옻닭에 대해 자랑을 한 적이 있지만 사천식당의 찬류들은 시골의 정취를 그대로.. 더보기 돈벼락 한번 맞아 보실라우? ㅎㅎㅎ 하긴 지금은 화폐가치가 떨어져 사용하지 않는 돈들이 대다수지만... 내가 살아오면서 만져 본 돈의 종류는 얼마나 될까? 국내.외를 다 합친다면 아마 셀수 없을 것이다. ^^ 그중에 우리나라에서 만져 본 돈의 그림을 우연히 만났다. 반갑기도 하고... 그 아래 적힌 글을 보면서 세월의 무상함도 느끼고... ㅠ_ㅠ 내 나이보다 젊은 아래의 돈들을 보며 그 당시 이 돈을 사용하던 때가 생각이 난다. 새록 새록... 그때는 지금과 달리 사람들이 순수하고 인정이 많았다는 생각이 먼저 든다. 돈을 보며 돈이 싫어지는 것은 왜일까? 아니 돈이 싫은 것이 아니고, 지금처럼 각박해진 세월이 싫은 것일지도 모르겠다. 1962년 12월 1일 발행개시 1962년 12월 1일 발행개시 1962년 6월 10일 발행개시 1962년 6월 10일 발행개시 1962년 9월 2일 발행개시 1962년 6월.. 더보기 이상해진 네이버 검색 네이버 시퀀스검색이라 달라진 것인가? 아니면 인터넷에 추파를 던지는 것인가 네이버 검색이 희안해 졌다. ^^ 얼마전 네이버가 야심차게 준비했다며 발표한 검색 개혁[?] 검색이 바뀌고 급격하게 1/2로 줄어들던 내 블로그의 방문자 수!!! 변경 처음이니 그러려니 했다. 또 병원에 있는 동안 내 블로그의 방문자 수가 현격하게 줄어 들었기에 블로그 포스팅을 하지 않아서 그러려니 했었다. 그런데 며칠째 글을 올려도 네이버 검색에서 전혀 잡히지를 않는 것이다. ? 그래서 무심코 검색된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 보니... 웬걸!!! 다음포털의 검색인줄 알았다. 블로그의 검색 1~6위까지 다음 또는 다음의 티스토리가 잡히고 6위에야 네이버 블로그가 잡히는 것이다. 이 뭥미? 네이버 포털에서 대한민국 포털로의 전환? 아니면 그동안 소원했던 다음과의 화해를 위한 몸짓? 얼마 전 내 블로그 이웃 손.. 더보기 그렇게 사람을 고생시킨다는 모낭염 나는 이렇게 나앗다. 유난히 추웠던 지난 겨울... 쓸데없는 바쁜 일들로 위생을 청결히 하지 않아서인지 머릿속에 모낭염이 발생을 했다. 이 진단은 명의이신 논산의 손소아청소년과의원 손영기 박사님의 진단이니 정확하다. 네이버백과에서는 모낭염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다. 모낭에 세균이 침투해 급성 화농성 염증을 일으킨 상태를 말한다. 주로 두피에 많이 발생하나 털이 있는 부위라면 우리 몸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다. 증상은 처음에 모낭을 중심으로 홍반이 생기면서 털이 있는 부위에 고름이 잡히기도 하다가 나중에는 그것이 터지면서 딱지가 앉는다. 또 그 부위를 누르면 불쾌할 정도로 아프기도 하다. 피부 깊숙한 곳에서 발생한 단단하게 맺혀진 피부 위의 융기물로 피부가 발갛게 부어오르는 통증과 모낭공의 염증이 동반되기도 한다. 발열·.. 더보기 계룡산에서 경칩에 꽃대를 올린 노루귀를 발견한 계룡도령 춘월 오늘이 경칩이다. 경칩(警蟄 숨어 있다가 놀라서 깸) 얼음 깨지는 소리에 개구리가 화들짝 놀래 뛰쳐 나오는 경칩인데 啓蟄(계칩)이라 하기도 한다. 경칩은 글자 그대로 땅 속에 들어가서 동면을 하던 동물들이 깨어나서 꿈틀거리기 시작하는 무렵이 된다. 이 24節期를 1년 12월, 음력月과 대응 시키기위해 12절기(節氣)와 12중기(中氣)로 분류한다. 경칩은 우수(雨水) 다음의 절기로, 양력으로는 3월 6일경부터 춘분(春分:3월 21일경) 전까지이다. 음력으로는 이월절(二月節)이다. 태양의 황경은 345°이다. 1月 2 3 4 5 6 7 8 9 10 11 12 입춘. 경칩. 청명. 입하. 망종. 소서. 입추. 백로. 한로. 입동. 대설. 소한 우수. 춘분. 곡우. 소만. 하지. 대서. 처서. 추분. 상강. 소.. 더보기 7월 야생화 꽃 짚신나물 낭아초 선학초 용아초 산짚신나물 들꽃 약용식물 약초 항암제 짚신나물 선학초라고도 불리며 우리 나라의 들이나 길옆에 흔히 자라는 식물이다. 짚신나물은 야산이나 길가. 들판 등에 흔히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선학초(仙鶴草), 용아초(龍牙草), 황화초(黃花草), 탈력초(脫力草) 등의 여러 이름이 있다. 이 가운데서 용아초라는 이름은 이른 봄철에 돋아나는 새싹이 마치 용의 이빨을 닮았다고 해서 생긴 것이다. 키는 15∼60센티미터쯤 자라고 전체에 흰털이 있으며 버들 잎 모양 또는 긴 타원 꼴의 쪽잎이 어긋나게 붙는다. 6∼7월에 생기 꽃대 위에 노란 색의 작은 꽃이 모여서 핀다. 다른이름으로는 선학초(仙鶴草: 위약조변), 용아초(龍牙草, 시주용아초:施州龍牙草: 본초도경), 과향초(瓜香草: 용아초:龍牙草: 구황본초), 황용미(黃龍尾: 전남본초), 철호봉(鐵胡蜂, 금정.. 더보기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 100 다음